카테고리 없음

경주이씨 익재공파 돌림자.

녹전 이이록 2018. 12. 26. 11:56

경주이씨 익재공파 돌림자.

 

 

naver 모 블로그에 제목 [익제공파 돌림자]에 쓰여 있는 좋은 자료입니다.

 

각 성씨 집안에서 항렬자 제정에 참고로 한 내용입니다.

 

혹 원문에 잘못 기술된 내용이나 이견이 있는 부분에는 원문에 *표시를 하고 아래에 별도로 [*........]로 나타낸 뒤 아래에 소견을 올립니다.

 

[경주이씨 *익제공파 돌림자]  

 

- 이름의 항렬자(돌림자) 정하는 법:

 

*1) 五行相生法(오행상생법)으로 쓰는 경우 :

 

오행의 근본인 ····(....)가 포함된 글자를 변으로 하여 앞, 이름자에 번갈아 쓰는 경우인데 이 방법을 가장 많이 쓴다.

 

2) 十干(십간)순으로 쓰는 경우 :

 

,,,,(,,,,)를 순차적으로 쓴다.
 

혹은 ,,,,,,,,,(주로 쓰는 글자: ,,,,,,,)
 

천간(天干)을 포함한 글자를 순차적으로 쓴다.

 

3)十二支(십이지)순으로 쓰는 경우 :

 

,,,,(,,.......,,)를 순차적으로 쓴다.
 

혹은 ,,,,,,,,,,,의 지지(地支)를 포함한 글자를 순차적으로 쓴다.

 

4).숫자를 포함시키는 경우 :

 

(: ·. . ), (: ·. . ), (: . . ), (: . . )등으로 쓰는 경우.(안동권씨등)

 

5) 천자문 글자 순...

 

6) 드문 예이지만 韓山李氏(한산이씨)3단위 . . 기준 반복법을 사용한다.
 

7) 기타 :

 

오행과 십간을 병용한 방법, 오행과 숫자를 병용한 방법,
 

십간과 십이지를 병용한 방법.

 

- 같은 성씨, 같은 본관, 같은 파내에서도 지역이나 소 문중에 따라 항렬자(돌림자) 다를 수 있으므로 그 점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金水木火土, 甲乙丙丁..., 子丑寅卯..., 一二三四..., 天地玄黃...등등의 문중에서 정한 기본 순서(항렬)를 지키면서 다른 글자를 쓸 수도 있습니다.
 

또 좋은 이름으로 짓기 위하여 항렬자를 넣지 않았을 수도 있습니다.

 

- 경주이씨 항렬표 :

 

(*경주이씨 내에서도 파, 지역, 소 문중에 따라 다를 수 있음)

 

35세 : 영(榮). 36: (). 37 : (). 38 : (). 39 : ()  - . 40 : ,(,)  - .

41 : ()  - . 42 : ,(,) - . 43 : ,(,)  - -  *() 43대손 제자돌림

44 : ()  -  - *(아들) 44대손 동자돌림. 45 : ,(,) - . 46 : ,(,)  - .

47 : (). 48 : (). 49 : (). 50 : (). 51 : (). 52 : (). 53 : ().

54 : (). 55 : (). 56 : (). 57 : (). 58 : (). 59 : ()

 

- 성씨내의 파는 널리 알려진 대규모의 파가 있고, 그 파들의 아래에(=그 파들에 속한일반에 잘 알려지지 않은 소규모의 파들이 있습니다

 

어떤 성씨 안에 A,B,C,D.. 라는 파가 있다면 A파 안에도 a,b,c,d.. 파가 있습니다

 

그 아래에 또 있을 수 있구요.

B,C,D...파도 마찬가지입니다.

(ㅇㅇ학교--ㅇ학년--ㅇ반 식으로이 소규모의 지파들은 가까운 조상의 호나 주거지역명 등으로 'ㅇㅇ파' 라 명명하여 사용하는데, 그 위의 대규모의 파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은 아니며 대규모 파의 범위가 너무 넓으므로 편의상(시제, 종중 재산관리, 종친회 등세분하는 것입니다

 

씨 관련 싸이트 등에서 자신의 파를 찾을 수 없다면 자신의 파가 속한(=자신의 파 위의 대규모 파(일반적으로 통용되는)를 아셔야 찾을 수 있습니다.

 

지적 및 소견) - 이이록

 

[경주이씨 익제공파 돌림자]
 

- 돌림자(항렬)는 경주이씨 익재공파만 별도로 돌림자를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아닙니다.

 

경주이씨 8분적종과 14개 대파의 종친들 150만명이 세수별로 제정된 대동항렬자를 사용하여 작명합니다.

 

경주이씨 후손이면 누구나 항렬자를 써서 작명하여 서로 차서(次序)를 알아 예를 다하도록 중시조 70세까지 경주이씨 항렬제차 표를 제정하여 두었습니다.

 

위 파명은 '익제공파'가 아니고 '익재공파'입니다.
 

益齋'더할 익'. '재계할 재' '익재'로 읽습니다.
 

[*1) 五行相生法(오행상생법)으로 쓰는 경우 : ]

 

경주이씨 오행상생법(五行相生法)을 적용하여 항렬자를 제정하였습니다.

 

39세 -- 40------- 41세 --- 42------- 43-------- 4445- - - -

()...,(,)...() ...,(,)...,(,)...()...,(,)

()...()...........()......()............()...........()...()

.................................................................. *() 43대손 자 돌림

.......................................................................................*(아들) 44대손 자 돌림.

 

[() 43대손 자돌림 - (아들) 44대손 자돌림]
 

- (43대손)이 아니고 (43= 43''돌림-항렬)이라고 하거나 (43대 후손- 43세 후손'' 돌림- 항렬)이라고 해야 말뜻이 바릅니다.
 

'몇 세손'으로는 '중시조님의 42세손(=42대손)'으로 읽습니다.
 

44대손 ''항렬도 마찬가지입니다.
 

(44=44) ''항렬이나 44대 후손- 44세 후손)''항렬로 표기하거나 '중시조님의 43세손(=43대손)'으로 나타내어야 합니다.
 

경주이씨 항렬제차 표는 중조 35~ 70세까지 미리 제정하여 경주이씨이면 누구나 이 대동항렬자를 사용하도록 합니다.
 

[경주이씨 내에서도 파, 지역, 소 문중에 따라 다를 수 있음.]
 

- 어디에 기록되어 있는 말인가?

 

. 지역. 소 문중에 따라 항렬자를 다르게 쓰고 있다면 이는 항렬자가 아닙니다.
 

항렬자를 쓰는 이유는 항렬자로 세수를 알고 세수로 차서(순서. 위아래)를 알아보고 종친 간에 예를 다하는 것입니다.
 

항렬자가 다르면 누가 누구인지 어떻게 알아 볼 수 있을까요?

 

경주이씨 대동항렬인 경주이씨 항렬제차는 아래와 같이 근거를 찾을 수 있습니다.

 

무진년 중추 (고종 5. 1868년 가을) 귤산공(휘 유원. 고종 때 영의정)이 지은 금석록 권 24 추록 27 에 아래와 같은 글이 있습니다.

 

 익재공파 (益齋公派 )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오촌공파 (梧村公派 )가 세거 (世居 )하고 있는 충북 진천군 초평면 연촌 (現龍亭里陽村部落 - 현 용정리 양촌부락 )에 모여서 화수회를 창립 발족하고 10 여 간의 초가를 세우고 경주이씨 화수실 (慶州李氏花樹室 )이라 편액을 걸고 화수회가 모이는 곳으로 삼았다 .

 

 여기서 진천 문중 (鎭川門中 )에서 정하여 준용하고 있는 항렬자를 따라서 작명키로 의정 (議定 -의논하여 결정함 )하였으며 [- 당시 미정 (未定 )인 우 ()자 이하의 5 대 항렬자를 새로 정하였다 .-]

 

 이후 1987 년에 간행된 경주이씨 대종보 (정묘보 ) 총편 익재공파편 P298 ~ 299 에 아래와 같이 항렬자에 대하여 기록하고 있습니다 .

 

 三十五代 로 된 失傳世系 序文一節 - (中略 ) - 正三品通政大夫時慶山郡守啓弼記

 

- (35 대로 된 실전세계의 서문 1 (중략 ) - 3 품 통정대부 시경산군수 계필 기 )

 

[行第字亦爲預先講定錄于譜序下以示敦睦之誼(항 제자역위예선강정록우 보서하이시돈목지의 )]

 

35363738394041424344454647

........................................

........................................

 

중략 - 大韓光武八年甲辰仲春上澣 (대한 광무 8년 갑진 중춘 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