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선생의 ‘2대=1세’론 - 3
■ S선생의 ‘2대=1세’론 - 3
아래의 글은 S선생의 세와 대에 대한 주장입니다.
글에서 이견(異見)이 있고 잘못된 기술에는 문장마다 ▲[.............]로 나타내고 아래에 소견을 올립니다.
모아 둔 자료에서 작금에 읽어 보고 이를 다시 정리하여 올립니다.
△ S
【* 一世(1세)와 一世祖(1세조)는 다르지요, 一代(1대) 와 一代孫(1대손)도 다릅니다,
글자를 一字(한자) 붙임과 붙이지 않음은 분명한 차이가 발생 하지요.
이러한 내용들을 이해를 해야 합니다.】
소견)
一世(1세)와 一世祖(1세조)의 뜻은 다릅니다.
一代(1대) 와 一代孫(1대손)의 뜻도 다릅니다,
1세와 1대에 祖(조)자와 孫(손)자 1자를 붙임과 붙이지 않음에 따라 두 단어는 그 뜻이 분명히 다릅니다.
위 말은 바른 말씀이나 선생의 ‘2대=1세’로 읽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논리와 ‘하 상대’, ‘상 하세’를 적용하는 선생의 논지로는 ‘一世(1세)와 一世祖(1세조)’ . ‘一代(1대)와 一代孫(1대손)’이 같은 뜻으로 읽게 되는데 위에서는 一世(1세)와 一世祖(1세조), 一代(1대) 와 一代孫(1대손)은 다르게 읽는다. 라고 하니 선생의 2대=1세의 논리와 위에 쓴 글 내용은 다르니 이해가 안 되는 것입니다.
선생의 ‘2대=1세’로 읽는 논리와 위 설명인 [一世(1세)와 一世祖(1세조)는 다르고 一代(1대) 와 一代孫(1대손)도 다르다.‘라고 한 내용을 아래의 표를 보고 서로 다른 말임을 알아야 합니다.
아래의 표는 선생의 논리인 ‘2대=1세’ . ‘하 상대, 상 하세’의 논리를 적용하여 읽은 표입니다.
고조 -→ 증조 -→ 조 --→ 부 --→ 기(나)
1대.........2대........3대........4대.......5대
...............1세........2세.......3세.......4게 – ‘2대=1세’
...............1세손.....2세손...3세손....4세손 – ‘하세’적용
5대.........4대........3대........2대.......1대
5대조......4대조....3대조.....2대조...1대(조?) - ‘상대’적용
*위와 같이 읽기 때문에 선생은 고조부를 5대조라고 읽는 것이 아닌지요?
*'下世上代(하세상대)'를 적용하여 '1세=1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고 '1대=1대조'로 같은 뜻으로 읽었습니다.
그러니까 ‘一世(1세)는 一世祖(1세조)’로 말할 수 없고 ‘一代(1대)는 一代孫(1대손)’으로 말할 수 없습니다.
이유는 ‘상 하세, 하 상대’로 읽어야 하기 때문에 '1세조'. '1대손'으로는 읽을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즉 '상대하세'로 읽어야하기 때문에 1세조와 1대손으로는 읽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글자를 파자를 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소견)
글자를 파자해서 ‘2代를 1世’로 읽고, 世孫(세손)과 代孫(대손)을 달리 읽고 '상 하세. 하 상대'를 적용하여 읽어 아래로는 代孫(대손)으로는 읽을 수가 없고 世祖(세조)와 代祖(대조)도 뜻을 달리 읽었습니다.
윗대로 '몇 世祖(세조)'로 읽는 것은 상스럽다고 하는 것입니까?
조선왕조실록. 고문헌의 고전번역서에서 많은 용례를 올려 드렸고 많은 학자님들이 ‘동의론’에 대한 논지를 많이 올려 드렸으니 차근차근 다시 한번 읽어보시기를 권합니다.
▲【*‘손자 손(孫)’자는 ‘아들 자(子)변’에 ‘이을 계(系)’ . ‘할아버지 조(祖)’자는 ‘볼 시(示)변’에 ‘또 차(且)’로 되어 있으니 어떻게 풀어 읽고 이해를 해야 할까요?
그리고 代라는 글자는 사람 인(亻)변에 가질 익(弋)으로 되어 있으매 어떻게 풀어 읽어야 하겠는지요.
한문 글자는 또 여러 가지로 읽혀지므로 어떻게 읽느냐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니 음양오행을 알아야 한다고 하는 것이니 이점 충분하게 이해를 하시기를 원합니다.】
소견)
한자를 파자하여 세와 대를 이해하여야 한다는 선생께서 이를 풀어 설명해 주셔야 이해를 할 것인데 도리어 이를 말하면서 되묻고 있습니다.
세와 대를 파자하여 세와 대를 논하고자 하는 분이 선생이 아니십니까?
그러한데 이에 대하여 궁금하게 생각하는 선생의 논지를 이해하지 못하는 여러 선생들께
[‘손자 손(孫)’자는 ‘아들 자(子)변’에 ‘이을 계(系)’ . ‘할아버지 조(祖)’자는 ‘볼 시(示)변’에 ‘또 차(且)’로 되어 있으니 어떻게 풀어 읽고 이해를 해야 할까요?
그리고 代라는 글자는 사람 인(亻)변에 가질 익(弋)으로 되어 있으매 어떻게 풀어 읽어야 하겠는지요?]
라고 물으면 누가 알고 대답하오리까?
△ 투바위(이이록)
S선생의 새로운 논지인 [2대는 1세]로 읽는 족보나 문헌의 용례를 3가지 정도만 올려 주실 수 있는지요?
△ CJ
앞서 투바위(이이록) 선생님께서 지적 잘 하셨습니다.
S선생은 왕능보존회 카페에 세와 대를 지마음대로 써 내려갔더군요.
얼척이 없는 논지로 세상을 놀라게 할 사람으로 보입니다.
△ S
【*보아하니 투바위(이이록) 선생이나 CJ선생은 유식해서 그런지는 모르겠으나 얼굴이 안 보인다고 해서 마음대로 표현을 하시는 것 같은데, 그러면 안 되지요,】
소견)
얼굴이 안 보인다고 함부로 말씀드리는 것이 아닙니다.
먼저 말씀을 함부로 하니 그 글을 읽고 가만히 있을 사람이 누가 있겠습니까?
자신이 당한 것만 억울하다 마시고 자신이 올린 글을 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2대를 1세]로 읽는 선생의 논지는 잘못된 논지입니다.
【*내가 이 카페에 들어온 지 얼마 되지 않았지만 서로 주고받는 댓글들이 너무 과격한 것 같아서 선비들의 처신을 바르게 가지라는 뜻이었고, 갱상도 보리문동이 본질의 말투였다면 잘못을 인정 하겠습니다,】
소견)
‘갱상도 보리문동이 본질의 말투였다면 잘못을 인정하겠습니다.’
- 잘못을 인정하시네요.
이 카페에 들어온 지 얼마 되지 않아 서로 주고받는 댓글들이 너무 과격한 것 같아서 선비들의 처신을 바르게 가지라는 뜻에서 말씀을 함부로 하였다고 했지만 여하간 선생께서 올리신 글에 먼저 잘못이 많았습니다.
'되어 먹지 못했다.’ . ‘선비의 자질을 갖추지 못했다.’ . ‘무지한 분.’ . ‘하나를 알고 둘은 모르는...’ . ‘말을 함부로 하는.... . ’되어먹지 못한 선비님들 쯧쯧...’하는 등의 글을 올려지 않습니까?
토론을 하다보면 감정이 상하는 수도 있고 얼굴을 붉힐 때도 있습니다.
어떤 분은 ‘먼저 성내는 사람이 지는 사람이다.’라는 글을 올려 심한 어투로 논쟁하는 것을 경계하는 분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