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선생의 주장에 대한 소견 - 5
■ S선생의 주장에 대한 소견 - 5
모 사이트에서 ‘세. 대. 세손. 대손. 세조. 대조’를 헤아려 읽는 방법을 각 논지에 따라 각기주장을 내세워 토론을 하는 중 S선생께서 자신의 주장인 글을 올려 주었습니다.
근래에 모아 둔 자료에서 찾아 읽었는데 당시 소견을 올린 글도 있지만 올리지 못한 내용이 많은 것 같습니다.
다시 이견이 있고 잘못된 주장에는 필자가 원문에 *표시를 하고 아래에 ▲[............]로 나타낸 후 아래에 소견)을 올립니다.
▲[*三從(3종), 再從(재종), 四寸(4촌)과 나는 모두 四世孫(4세손)이며 代數(대수)로는 五代孫(5대손)이다,
세로의 간은 고조부 아래로 네 칸(間)이며, *나로부터 좌우로는 나(무촌). 형제(2촌), 사촌(4촌), 재종(6촌), 삼종(8촌) 이렇게 다섯 마디(節)로 代가 성립되는 것이며, 이렇게 *代와 代 사이의 父(부), 祖父(조부), 曾祖(증조), 高祖(고조)는 世로서 高祖(고조)는 四世祖(4세조)가 되고, 代로는 나를 넣으니 五代祖(5대조)가 되는 것입니다.]
소견)
위 글에서 잘못 서술한 내용을 △[...........]로 지적하고 아래에 붉은 글씨로 바르게 나타냅니다.
△[三從(3종), 再從(재종), 四寸(4촌)과 나는 모두 四世孫(4세손)이며 代數(대수)로는 五代孫(5대손)이다,]
⇒ 三從兄弟(삼종형제. 8촌), 再從兄弟(재종형제. 6촌), 四寸兄弟(사촌형제. 4촌)와 나는 모두 고조부(高祖父)의 四世孫(4세손)이며 代數(대수)로도 四代孫(4대손)이다.
△[*나로부터 좌우로는 나(무촌). 형제(2촌), 사촌(4촌), 재종(6촌), 삼종(8촌)]
⇒ ‘나’로부터 나 – 형제(2촌) - 종형제(4촌) - 재종형제(6촌) - 삼종형제(8촌)
△[*代와 代 사이의 父(부), 祖父(조부), 曾祖(증조), 高祖(고조)는 世로서 高祖(고조)는 四世祖(4세조)가 되고, 代로는 나를 넣으니 五代祖(5대조)가 되는 것입니다.]
⇒ 代와 代 사이의 父(부), 祖父(조부), 曾祖(증조), 高祖(고조)는 ‘몇 世祖(세조)’로는 高祖(고조)는 나의 四世祖(4세조)이고, ‘몇 代祖’로는 나의 四代祖(4대조)가 되는 것입니다.
◈ 선생의 논지 [2대=1세]대로 ‘세조와 대조’로 나타내면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 ‘고조 ~ 나’의 계대
고조 - → 증조 - → 조 -- → 부 --→ 기(나)
1대..........2대..........3대........4대........5대
0.............1세..........2세........3세........4세
4세조......3세조.......2세조....1세조.....(0)
5대조......4대조.......3대조....2대조.....1대(조?)
* [2대=1세]의 논지에 ‘상대하세’를 적용해야하는 듯이 기술한 곳도 있으나[上下世(상하세)- 世는 위에서 아래로 읽는다. 下上代(하상대)- 代는 아래에서 위로 읽는다.] 위의 표와 같이 기술한 곳도 있습니다.
*‘몇 세조’로는 고조부는 ‘나의 4세조’로 읽고 ‘몇 대조’로는 나를 넣어 ‘5대조’로 읽었습니다.
‘동의’논지로는 ‘몇 세조’와 ‘몇 대조’를 아래와 같이 읽습니다.
○ ‘고조 ~ 나’의 계대
고조 - → 증조 - → 조 --→ 부 --→ 기(나)
1세..........2세..........3세........4세........5세
1대..........2대..........3대........4대........5대
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
4대조......3대조.......2대조.....1대조.....(기준)
*고조부는 나의 ‘4세조(=4대조)’라고 말합니다.
▲[*또 아래로는 高祖父(고조부)아래로 曾祖(증조)까지가 1세 曾祖(증조)에서 祖父(조부)까지가 2세. 祖父(조부)에서 父(부)까지가 3세. 아버지와 내가 4世(4세)인데, 孫(손)하면 5代孫(5대손)이 된다.]
소견)
○ 위 설명의 글을 적용하여 ‘고조 ~ 나’의 계대를 아래와 같이 ‘몇 세손’와 ‘몇 대손’으로 읽습니다.
고조 -- → 증조 -→ 조 --→ 부 --→ 기(나)
1대.............2대.........3대.......4대.........5대
..................1세.........2세........3세........4세
1대(손?).....2대손.....3대손.....4대손.....5대손
..................1세손......2세손....3세손.....4세손
*선생의 논지 [2대=1세]와 ‘내가 고조부의 5대손’이라고 하는 것 모두가 잘못된 논지입니다.
‘나는 고조부의 4대손(=4세손)’이라고 말하여야 바릅니다.
▲[*‘인간 세(世)’자와 흡사하게 생기지 않았습니까? (上代下世)
이렇게 설명을 했는데도 아니라면 아닌 것인가요?
만약에 이해를 못하시겠다면 *남의 가문의 족보에서 대를 표기한 것 말고, 막무가내로 우기지 말고, 세는 무엇이며, 대는 무엇이다. 하고 나와 같이 학술, 문헌적으로 설명을 한번 해 보십시오.
만약에 그 설명이 맞는다면 내가 L선생 앞에 무릎을 꿇지요.]
소견)
문장을 빼고 올린 것도 아닌데 [*‘인간 세(世)’자와 흡사하게 생기지 않았습니까? (上代下世)] 라고 하였는데 무엇이 ’인간 세(世)’자와 흡사하게 생겼는지요.
△[*남의 가문의 족보에서 대를 표기한 것 말고, 막무가내로 우기지 말고,]
- 대체로 다른 성씨의 유명 가문의 세. 대 표기와 ‘세손. 대손. 세조. 대조’의 표기는 '동의'논지로 읽고 기록하였습니다.
이런 저런 말씀보다 우리집 족보나 다른 가문의 족보에서 ‘세. 대. 세손. 대손. 세조. 대조’로 기록한 내용을 모두 발췌하고 그 계대를 족보와 맞추어 비교해 보면 각 용어의 뜻과 쓰임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지금까지 올린 다른 논지는 모두 잘못된 논지이고 ‘세=대’. ‘아래로 세손=대손’. ‘위로 세조=대조’로 등호(=) 좌우의 용어를 같은 뜻으로 읽는 ‘동의’논지가 우리 조상님들께서 사용한 바른 논지입니다.
▲[*그러나 무조건 하고 공씨가문, 맹씨가문, 안씨가문 족보를 디밀어 시조가 1번으로 되어 있으니 세와 대가 같은 것이지 않느냐? 하는 것은 미련한 사람들의 처사이니 선비로서의 행동이 아니라는 것을 말씀 드립니다.
아무리 미련한 사람도 이렇게 설명을 하면 다들 나는 여태껏 그렇게 알고 있었지만 설명을 듣고 보니 자기가 잘못 알고 있었노라고 수긍을 하였는데..... 좀 !!! 그렇네요!! ]
소견)
선생의 말씀은 L선생이나 다른 분들에게 드릴 것이 아니라 도리어 선생 자신에게 드려야 할 말씀이 아닌지요?
선생의 논지 [2대=1세]로 읽는 논지는 선생 혼자만의 논지입니다.
아무도 선생의 논지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사람이 없습니다.
공. 맹. 주. 안자 중국 성현 가문의 계대 표기는 L선생이 가져와 ‘위로는 세=대=세조=대조’로 나타내고 ‘아래로는 세=대=세손=대손’으로 읽는다고 주장하는 L선생의 주장도 잘못된 것입니다.
“성현 가문 족보를 디밀어 시조가 1번으로 되어 있으니 시조 1세와 시조 1대가 같은 것이지 않느냐? 하는 것은 미련한 사람들의 처사이니 선비로서의 행동이 아니라는 것을 말씀 드립니다.”라고 하였는데 족보에서 시조 1번은 시조 1세, 시조 1대라고 하는 것은 잘못이 없는 말입니다.
선생께서 [2대=1세]로 읽는 논지로 설명하니까 위와 같이 말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선생의 논지는 수긍할 수 없는 논리이기 때문에 수긍하지 않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