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S선생의 주장에 대한 소견 - 4

녹전 이이록 2018. 4. 7. 10:10

S선생의 주장에 대한 소견 - 4



모 사이트에서 . . 세손. 대손. 세조. 대조를 헤아려 읽는 방법을 각 논지에 따라 각기주장을 내세워 토론을 하는 중 S선생께서 자신의 주장인 글을 올려 주었습니다.


근래에 모아 둔 자료에서 찾았는데 올린 글에 이견이 있고 잘못된 주장에는 필자가 원문에 *표시를 하고 아래에 [............]로 나타낸 후 아래에 소견)을 올립니다.


[* ()는 무엇을 ()라고 하는가?


()는 두 개를 하나로 묶은 것이 글자 그대로 ()이지만, < + + + + >= ().


()는 하나하나 떼어 놓은 것이 () 라는 것이요. < - >= ()]


소견)


세와 대를 설명한 글로 [()는 두 개를 하나로 묶은 것이 글자 그대로 ()이고 ()는 하나하나 떼어 놓은 것이 ()라는 것이요.]라고 설명을 하였는데 이는 아래와 같이 선생의 [2=1]로 읽는 논지의 설명으로 세와 대를 파자하여 설명된 논지로 이해됩니다.


이의론논지인 [2=1]를 거꾸로 헤아려 읽는 논지입니다.


[2=1]‘4’. [2=1]이의론’, [1=1]동의론논지를 비교하여 나타내어 보겠습니다.


고조 ~ ()의 계대


고조 - - 증조 - - - ()

1..............2........3.......4.......5

(2대=1세).....1........2.......3.......4- - 4(2=1)

--------------

1..............2........3.......4.......5

(2=1)....1.........2.......3.......4- - 이의론(2=1)

--------------

1..............2.........3.......4.......5

1..............2.........3.......4.......5- - 동의론(1=1)


[*쉬운 예를 하나 들어 설명을 하고자 한다면 나무를 비교해서 설명을 하지요.


나무 한그루를 보면 뿌리, 몸통, 가지, , 열매, 이렇게 여러 가지 가 한데 모여서 나무 한그루가 형성되고 그 여러 가지가 한데 모여 있는 것을 우리는 나무 한그루라고 한다,


과일나무이면 과일나무, 대나무면 대나무 어떤, 어떤 나무 하고 이름을 붙여 부른다.


이것과 같이 는 어떤 나무 하나를 통칭 하는 것과 같으며, 그 나무에 여러 가지 몸통, 가지, , 열매가 붙어 있는데 그 하나하나를 일컬어 나무 가지 나무 잎, 나무열매, 를 말 하듯이 는 이와 같은 것이다.


또 더 쉽게 설명을 하자면 는 둘을 하나로 묶어 놓은 것이고, 는 낱개로 분리해 놓은 것이다 상점에 필수품을 사러 가보니 묶어서 한 묶음에 얼마입니다,


또는 낱개로 한 개에 얼마입니다, 라는 것과도 같은 것입니다.]


소견)


보학에서의 는 같은 뜻으로 읽고 쓰기 때문에 =입니다.


=로 같은 뜻으로 읽기 때문에 위의 세와 대의 다른 설명은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한그루 나무에서 세와 대를 구분하고 생활필수품에서 묶음과 낱개를 구분하여 세와 대를 설명한 것은 세와 대를 다른 뜻으로 읽는다는 논지로 바른 설명이 아닙니다.


[*흔히들 반론을 제기 하시는 분들은 3대 재벌을 <재벌 1, 재벌 2, 재벌 3> 가지고 왜 3대가 재벌인데 재벌 3세라고 하느냐로 반문을 합니다마는 이것은 자기가 행했던 것이므로 자기가 일세가 되니 아들이 2세가 되고, 손자가 3세가 당연히 되어 이런 때는 재벌 3대나, 재벌 三世나 같은 것이 되기도 하지요


그러나 재벌 3대라 하면 孫子(손자)에서 멈추지만, 재벌3세 라고 하면 손자가 재벌이니 다음 曾孫(증손)이 재벌을 할 수가 있음으로 여운을 남기기 위해서 재벌 3세라고 하는 것입니다.]


소견)


[2=1]를 기본으로 하여 세와 대를 읽는다면 2대는 1세로 읽어야 하므로 재벌3재벌2가 되어야 논지가 바릅니다.


그런데 재벌3재벌3로 같은 뜻이라면서 논지와는 다르게 읽는 이유가 이것은 자기가 행했던 것이므로 자기가 1세가 되니 아들이 2세가 되고, 손자가 3세가 당연히 되어 이런 때는 재벌3, 재벌三世나 같은 것이 되기도 하지요.’라고 2=1세의 기본논지를 무시하고 끼어 맞추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간단히 설명하여 =로 같은 뜻이니 재벌3(財閥三世)’재벌3(財閥三代)’로 같은 뜻으로 읽고 말하는 것입니다.


3세동당(三世同堂)3대동당(三代同堂)으로 같은 뜻입니다.


萬世(만세)萬代(만대)라고도 하니 =로 같은 뜻으로 사용된 용어입니다.


[* 아래의 그림을 보면 영영 무식자가 아니라면 어느 정도 이해를 하시리라 봅니다.


표의 횡과 종을 잘 보십시오.


종으로 내려오면서 자연적으로 횡이 성립됨과 같이 여기서 를 논할 때는 내가 1. 2, 조부 3, 증조 4. 고조 5로 되어 5대임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5

(5) --- - ---------------- (고조부) 4세조-------------------

4

(4) ------- - -------- (증조부) 3세조------------

3

(3) ------- ----- (조부) 2세조---- -

2

(2) ------ - () 1- <인쇄하여 종선을 그어 보십시오. >

1

0

(1) ----- (-무촌). 형제(2). 종형제(4). 재종(6). 삼종(8).]


소견)


선생의 논지는 ‘2=1로 읽습니다.


그런데 위의 표 맨 좌측의 세=()의 표기를 보면 5=(5). 4=(4). 3(=3). 2=(2)로 나타낸 뒤 내려와 아래에는 [1. 0. (1)]로 나타내어 ‘2=1로 읽은 것도 아니고 무슨 내용인지 이해가 되지 않는 세와 대 표기를 하고 있습니다.


또 위 표에서 보면 ‘4세조 3세조 2세조 1로 나타내어 단위를 윗대에서 세조로 읽어 내려오다가 부(- 아버지)에 이르러 세조로 단위를 달리 읽었습니다.


모두 잘못 기술한 것입니다.


선생의 논지 ‘2=1를 적용한다면 아래의 표와 같이 나타내어야 할 것입니다.


(5) 4- (고조부- 4세조) ━━━━━━━━━━━━━━━━━━━ 종고조부

......................................................................................................................

(4) 3- (증조부- 3세조) ━━━━━━━━━━━━━━ 종증조부..............

...................................................................................................................

(3) 2- (조부- 2세조) ━━━━━━━━ 종조부......................................

................................................................................................................

(2) 1- (- 1세조) ━━━ 백숙부.......................................................

..................│......................................................................................(10)

(1) 0- (기. ) ━  형제(2)..종형제(4)..재종형제(6)..삼종형제(8)..사종형제


아래의 표와 같이 나타내어야 세수와 대수를 바르게 표기하고 촌수를 바르게 나타낸 것입니다.


(5).. 5- (고조부- 4세조) ━━━━━━━━━━━━━━━━━━━ ⑥종고조부

...................................................................................................................

(4).. 4- (증조부- 3세조) ━━━━━━━━━━━━━━ ⑤종증조부..............

................................................................................................................

(3).. 3- (조부- 2세조) ━━━━━━━━ ④종조부.....................................

.............................................................................................................

(2).. 2- (- 1세조) ━━━ ③백숙부.....................................................

..................│① - - - - ...................................................................(10)

(1).. 1- (기. ) ━ ②형제(2)..종형제(4)..재종형제(6)..삼종형제(8)..사종형제


* ‘1=1로 같은 뜻으로 나타내어야 하고 촌수(작은 원안의 숫자 표기)는 그림과 같이 나타내어야 합니다.


*  ' 형제(2)..종형제(4)..재종형제(6)..삼종형제(8)..사종형제' 에서 계대세수는 1세(=1대)이고  항렬은 '상'항렬로 중시조 39세(=39대)이면 모두 같은 세수(=대수)이지만 촌수는 모두 다릅니다.


앞회에서 [란 무엇인가?  *“()寸數(촌수)와 같은 것이다.] 라고 하였으나 위 표에서 보다시피 '세'와 '촌수'는 같은 뜻이 아님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