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촌수 문의

녹전 이이록 2017. 8. 18. 10:12

촌수 문의



[다름이 아니라 촌수에 관해서 알고 싶어서요


동성동본이고 파도 같은 OO공파입니다.


*저는 30대손, 친구는 31대손이라는데 촌수가 어떻게 되는지 자세히 좀 알고 싶습니다.


아버님끼리는 서로 모르시는 것 같습니다.]


* [저는 30대손, 친구는 31대손이라는데 ...]


- 위 기술에서 '나는  30대손' , '친구는 31대손'을 '이의'논지로는 '시조 31세' , '시조 32세'로 읽는 경우가 있고 또 '시조 30세'와  '시조 31세'로 읽는 경우가 있습니다.


논지가 다르다보니 '시조세수(중시조세수)'를 읽는 것도 '세. 대. 세손. 대손'을 마음대로 읽고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시조 30세'와  '시조 31세'로 하여 촌수를 헤아려 말씀 올립니다. 


답변)


KHB


우선 30대손과 31대손은 숙질간입니다.


30대인 사람이 아저씨, 31대는 조카뻘이란 말입니다.


촌수는 족보를 놓고 계산해야 합니다.


즉 시조로부터 몇 세()에서 서로 갈라졌느냐? 하는 것을 찾습니다.


*가령 시조 20()에서 나누어졌다면 한쪽은 큰할아버지, 다른 쪽은 작은할아버지 입니다.


그러면 31대인 분은 3120=11세란 계산이 나옵니다.


그러면 당신의 아들과 그 친구는 11종간입니다.


11종간을 촌수로 하려면 11*2+2=24 24촌이 되며 당신과 친구의 아버지는 10종형제가 됩니다.


당신의 친구는 10종질이 되며 23촌간이 됩니다.


호칭은 친구가 족질, 당신은 족숙이 됩니다.


이이록


[*가령 시조 20()에서 나누어졌다면 한쪽은 큰할아버지, 다른 쪽은 작은할아버지입니다.


그러면 31대인 분은 3120=11세란 계산이 나옵니다당신의 아들과 그 친구는 11종간입니다.]


- 위 글을 자세히 읽지 않으면 '당신의 아들은 어디에서 나왔나?'라고 의아하게 생각하고 당신의 아들과 그 친구는 11종간입니다.’라는 말이 이해가 되지 않아 이상하게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시조 31세(B)와 시조 30세(A)는 족질간인데 시조 30세(A)인 당신과 시조 31세인(B)의 직계 조상인  

시조 20세(Y)는 종10대조로 10종간이니 시조 31세인 당신의 아들과는   11종간이라는 뜻입니다.


아래 그림에서 시조 30(A)인 족숙은 시조 31(B)인 족질의 아버지와는 종10대조이니 10종간입니다.


시조 31(B)인 족질은 시조 20(X) 조상님과는 3120=11세로 종 11대조이니 11종간입니다.


즉 당신(A. 시조 30세)의 아들은 시조 31세(B)와는 11종간이 되는 것입니다.

------------

먼저 동성동본에 좌상공파이고 두 분은 ‘30대손과 31대손으로만 말하여 촌수를 알고 싶다고 하였습니다.


30대손과 31대손의 표기가 시조부터인지 중시조부터인지가 분명하지 않으나 시조(혹은 중시조)로 보고 시조 30시조 31로 하여 말씀드립니다.


(30대손과 31대손도 이의논지로 읽어 31세와 32세를 말하는지 30세와 31세를 말하는지도 확실하지 않으나 답변자 생각대로 두 분은 각기 시조 30시조 31로 하여 촌수를 말씀드리겠습니다.)


그런데 촌수는 두 분의 세수인 시조 30세와 31세의 어느 앞대에서 형제로 나누어진 세수를 알아야 정확한 촌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만약 두 분이 시조 20세에서 계대가 갈라졌다고 하면 아래와 같이 표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시조 20(X)━ ━ ━ ━ ━ ━↗↑(Y) A의 종10대조=(10). B11대조=(11)

.........................................

.........................................*방계의 계대는 바로 마디수를 촌수로 말합니다.

.........................................시조 20~ 31세는 11대조이고 11촌입니다.

.........................................

.........................................

30(A)..............................

............................................31(B)


*시조 30(A)는 족숙이고 시조 31(B)는 족질입니다.


시조 30(A)에서 방계인 시조 20(Y)까지는 종 10대조로 10촌간입니다.


3촌인 백숙부부터 헤아려 종10대조이니 10촌이나 나와 형제 2촌은 계산하지 않았으므로 10+2=12촌입니다.


그리고 시조 31(B)에서 직계인 시조 20세인 Y까지는 마디로 읽어 11촌입니다. ('몇 대조'는 마디와 같으므로 촌수로 바로 바꾸어 말할 수 있습니다.)


시조 30(A)와 시조 31(B)는 숙질간으로 23촌간입니다.


간편 촌수 계산


(A)는 시조 30세이고 종친(B)은 시조 31세입니다.


계대가 나누어진 형제인 두 분의 조상님 시조세수가 20(X. Y)일 때 두 분(A. B)의 촌수 간편 계산방법입니다.


먼저 형제로 계대가 갈라진 공동 조상님을 알아 촌수를 헤아리는 셈법입니다.


시조 20세에 형제로 나누어졌다면 공동조상은 시조 19세입니다.


공동조상님이 19세이고 나(A)30세이니 공동조상님과 나와의 세수는 12세로 나(A)19조상님의 11세손(-A11세조)입니다. 30-19=11.


(A)와 공동조상님 계대와 또 공동 조상님과 31세 종친님(B) 계대는 양쪽 계대이니 11*2=22. 22촌입니다.


(A)는 시조 30세이고 종친(B)은 시조 31세이니 나와 종친은 숙질항으로 나(A)항이고 종친(B)항이니 나(A와 종친님(B)은 방계로 종1대조이므로 1촌간입니다.


나와 같은 양계의 촌수 22촌에다 나와 종친의 1촌을 합하여 22+1=23촌간입니다.


계대가 나누어진 윗대조상(Y) 시조세수 20세와 나의 시조세수 30세를 기준으로 계산하는 셈법입니다.


계대가 나누어진 윗대 방계 조상세수 20세와 나의 시조세수 30세에서 방계 조상님와의 세수차이는 11세이고 종대조수로는 종10대조가 되니 10촌입니다.


한쪽 계대가 10, 양쪽 계대이니 10*2=20촌이고 계산에 들어가지 않은 나와 형제 계대 2촌을 더하고 나(A)와 종친(B)과의 촌수 1촌을 더하여 10*2+2+1= 23촌입니다.


계대가 나누어진 윗대조상(Y) 시조세수 20세와 종친(B)의 시조세수 31세를 기준으로 계산하는 셈법입니다.


계대가 나누어진 윗대 방계 조상세수 20세와 종친(B)의 중조세수 31세에서 방계 조상님와의 세수차이는 12세입니다.


조손 세수 차이 12세는 종대조수로는 종11대조이고 이는 촌수로 11촌입니다.


한쪽 계대가 11촌이고 양쪽 계대이니 11*2=22촌입니다.


계산에 들어가지 않은 나와 형제 계대 2촌을 더하고 나(A)와 종친(B)과는 숙질간으로 나보다 촌수가 1촌 작으니 11*2+2-1=23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