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렬
■ 항렬
[항렬이 같다는 말은 세대가 같다는 말이라는데 이게 무슨 말이죠??
저는 항렬이 뭔지.. 세와 대의 차이가 뭔지를 몰라요...
세와 대의 차이를 교과서에 써놨는데 무슨 말인지 해석이 불가능하고요..
문제지에 항렬은 아버지 쪽에서 갈라져 나온 혈통에 대한 세대 순서라는데 이게 무슨 말이죠??]
답변)
△ S
동족간(同族間)의 손위나 손아래 또는 대수(大數)를 나타내기 위해, 이름에 돌림자(字)를 사용하는데, 이렇게 사용되는 돌림자를 항렬(行列)이라 한다.
검색결과 이러하네요.
제 친구한테 물어보니 친구가 대답하길 만약에 제 할아버지 성함이 한석봉 이고 어떤 한씨 사람이 또 한 사람 있는데 그 사람 이름이 한석기라면 가운데 글자가 ‘석’으로 똑 같죠?
그럼 그 두 사람은 같은 세대인겁니다.
친구가 말한 걸 그대로 옮겨봤는데 맞는지는 모르겠어요.
저도 아직도 헷갈리어서...
△ H
항렬은 돌림자를 쓰는 것을 말해요.
우리 집 같은 경우는 아빠 쪽으로 나, 언니가 '다'를 돌림으로 쓰거든요.
동생은 친척들이랑 같은 '구'를 쓰고요.
이처럼 같은 돌림자를 쓰는 사람들이 한 세대다. 라고 해요.
항렬이 같으면 세대도 같다가 이 말이죠.
항렬은 아버지 쪽(친가) 혈통을 따르고, 이름 중에 가운데 글자나 맨 끝 글자가 돌림자를 쓰는데 돌림자 쓰는 사람들끼리 같은 세대라 이거죠.
그러니까 항렬이 같으면 세대도 같다.
답변) 이이록
▲[항렬이 같다는 말은 세대가 같다는 말이라는데 이게 무슨 말이죠??]
- 친형제. 4촌 형제. 6촌 형제, 8촌 형제, 10촌 형제 등등은 시조(중시조)세수가 같고 이들은 모두 형제 뻘로 항렬이 같습니다.(同行동항)
항렬(行列)이란 나이에 상관없이 같은 세수(世數)에 항렬자를 넣어 작명을 함으로써 종인(宗人. 종친)간에 통성명시 이름자에서 항렬의 높고 낮음(윗대와 아랫대)을 알아 서로 간에 예를 다하고자 한 돌림자입니다.
국어사전 풀이 ‘항렬’
- 같은 혈족의 직계에서 갈라져 나간 계통 사이의 대수 관계를 나타내는 돌림자.
형제자매 관계는 같은 항렬로 같은 돌림자를 써서 나타냅니다.
▲[.. 세와 대의 차이가 뭔지를 몰라요...]
- 세와 대는 같은 뜻입니다.
1세=1대......5세=5대.......15세=15대.......35세=35대로 같은 뜻으로 읽습니다.
‘세손과 대손’도 같은 뜻으로 쓰이고. ‘세조와 대조’도 같은 뜻으로 사용합니다.
“나는 고조할아버지의 4세손(=4대손)입니다.”
“고조할아버지는 나의 4세조(=4대조)할아버지입니다.”
위 답변을 주신 종친님의 글에 잘못 설명한 곳을 지적하고 수정합니다.
S 종친님의 글은 아주 쉽게 설명된 글입니다.
그런데 S 종친님의 댓글에서 대수(大數)는 代數(대수)로 고쳐야 합니다.
위 댓글에서 [가운데 글자가 ‘석’으로 같다고 그 두 사람은 같은 세대라고 하며 항렬이 같다.]라고 하는 것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형제 5명중에서 항렬을 따라 ‘석’을 넣어 작명하는가 하면 항렬자를 쓰지 않고 오행에 맞는 글자 ‘형’자를 넣어 작명하기도 합니다.
위의 5형제 중 2형제는 이름 2자 중 앞 글자에 ‘석’자를 넣어 ‘석○’으로 작명하고 3형제는 항렬자가 아닌 ‘형○’ . ‘형△’ . ‘○형.’ 으로 작명할 수도 있습니다.
H님의 댓글에서는 - [우리 집 같은 경우는 아빠 쪽으로 나, 언니가 '다'를 돌림으로 쓰거든요. 동생은 친척들이랑 같은 '구'를 쓰고요.]
이건 아닙니다.
나와 언니는 아빠 쪽으로 항렬자 ‘다’를 쓰고 동생은 친척들과 함께 ‘구’자를 항렬자로 한다는 것은 잘못 알고 있습니다.
아빠와 나, 언니는 한세대가 아닙니다.
아빠는 나, 언니보다 한 항렬이 앞섭니다.
즉 한 세대가 빠르다는 뜻이니 나, 언니는 항렬이 같아도 아빠와는 항렬을 같게 쓸 수는 없습니다.
나와 언니도 동생과 같이 같은 항렬자를 써야 합니다.
나. 언니. 동생이 같은 형제이니 같은 시조(중시조)로부터 같은 세수를 쓰고 같은 항렬자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족보에는 대를 잇는 남자들을 세수와 항렬자에 따라 등재하였고 여자들은 이름이 없이 ‘女(딸)’라 쓴 아래에 남편의 성명을 나타내고 옆에 관직. 행적과 이들의 사이에 난 아들의 이름과 관직을 간단히 기록하는 정도였습니다.
여자들은 과거나 지금이나 항렬자를 넣어 작명하지 않고 여자임을 나타내는 예쁜 이름을 지어 부르고 있습니다.
현대에 와서 여자들도 족보에 이름을 올리고 시집을 가면 옛날에 족보에 등재하던 방법대로 등재하는 것으로 바뀌었습니다.
뒤에 후손들이 족보를 편찬할 때 여자들도 기록이 전해오는 대로 올렸는지는 알 수 없으나 고려 말 익재 이제현 선생의 가족상황을 족보대로 기록한 예입니다.(대종보 총편 익재공파편)
(작은 원안의 숫자는 자녀 차례 순. 3 配배에 3남 9녀)
17세 子 齊賢
┃
18세 ①子 瑞種 – ②子 達尊 – ③子 彰路 –
...........자 서종......자 달존.......자 창로....
①女 任德壽 –- ②女 李係孫 –- ③女 金希祖 – ④女 朴東生 - ⑤女 宋懋 –-- ⑥女 惠妃 –
...여 임덕수........여 이계손......여 김희조.......여 박동생.......여 송무............여 혜비....
판사. 풍천인....전농전. 연안인..판사. 언양인...판사. 영해인...판전. 진천인....공민왕
⑦女 金南雨 –- ⑧女 李有芳 –- ⑨女 林富陽
...여 김남우........여 이유방.........여 임부양
...전서. 광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