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5세=5세손’으로 읽는 ‘이의’와 ‘3론’의 용례

녹전 이이록 2017. 6. 8. 10:02

‘5=5세손으로 읽는 이의‘3의 용례



5세를 5세손으로 즉 =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는 이의‘3의 용례입니다.


순흥안씨 계대세수 1세 찬성사공(휘 축) ~ 5세 좌참찬공(휘 숭선)의 계대에서 5세 좌참찬공(휘 숭선)5세손으로 읽은 용례입니다.


世孫으로 읽은 이의‘3으로 읽은 용례입니다.


[左參贊安崇善卒. 高麗贊成事軸之五世孫(좌참찬 안숭선 졸. 고려찬성사 축지5세손)


- 좌참찬 안숭선이 졸하였다. 고려 찬성사 축의 5세손이다. ]


*순흥안씨 찬성사 축의 5세손이 좌참찬 안숭선입니다..


순흥 안씨 계대세수 1세 축 ~ 5세 숭선의 계대


- 종원 - 경공 - --숭선

1.........2............3............4..........5

1(?)..2(?)....3세손........4세손......5세손 이의’. ‘3으로 읽음.


1=1. 2=2. 3-3세손. 4=4세손. 5=5세손으로 등호(=)좌우의 용어를 같은 뜻으로 읽었습니다.


1) ‘1=1세손으로 읽어 =世孫과 같은 뜻으로 읽는데 세손이 같은 뜻입니까?


2) 주어진 계대가 휘 안축 ~ 휘 숭선인데 1세인 휘 안축을 =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어 ‘1세손으로 읽었는데 맨 윗대 조상인 휘 안축에게 ‘1세손이라고 지칭해도 될까요?


안 됩니다.


주어진 계대가 (조상 1세 안축 ~ 후손 5세 안숭선)인데 휘 안축을 ‘1=1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어 ’1세손으로 읽거나 말할 수가 없는 것입니다.


이는 분명이 [高麗贊成事軸之五世孫(고려 찬성사 축지5세손)]에서 五世孫의 역문이 바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동의논지로 헤아려 읽는 것과 같은 뜻의 말이 아닙니다.


동의논지는 1~6세의 조상과 후손 간 계대에서 후손 6세는 조상 1세의 5세손으로 읽는 것과는 달리 위 五世孫’5세 후손으로 역문하여 읽어야 바른 해석입니다.


‘5세 후손(자손)’은 그대로 세수로 ‘5를 말합니다.


‘5=5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는 五世孫은 한자어이고 이를 우리말 ‘5세인 후손. 5세의 후손五世之孫이라고도 나타낼 수 있고 五世^ 으로 나타내어야 하는데 한자어는 띄어쓰기가 없어 붙여 쓰다 보니 五世孫으로 나타내는 있습니다.


高祖(고조)를 계대세수 五世(5)’라고 五世祖(5세조)로 읽습니까?


아래의 고조 ~ 나의 계대의 표를 보고 . . 세손. 대손. 세조. 대조를 어떻게 헤아려 읽는지 이해를 하여야 합니다.


동의. 이의. 3론의 각 논지마다 이 내용을 모르고는 이해가 안 되기에 어떤 점이 다른지 알아야 합니다.


동의논지 (=. 세손=대손. 세조=대조)


고조 ~ 나의 계대


고조 - 증조 - - - -- ()

1...........2..........3..........4.........5

1...........2..........3..........4.........5

(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

(기준).......1대손.......2대손......3대손......4대손

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

4대조........3대조.......2대조......1대조......(기준)


이의논지 (2=1. -1=. =대조. =세손. 상대하세. 대불급신)


고조 ~ 나의 계대


고조 - - 증조 -- - - -- ()

1..............2............3...........4..........5

(2=1)....1............2...........3..........4

1(?).......2(?)....3세손.......4세손.......5세손

4대조...........3대조.........2대조.......1대조.......(대불급신)


‘3논지 (위로 세==세조=대조. 아래로 세==세손=대손)


고조 ~ 나의 계대


고조 - 증조 - - - -- ()

1...........2..........3..........4.........5

1...........2..........3..........4.........5

1세손........2세손......3세손.......4세손.....5세손

1대손........2대손......3대손.......4대손.....5대손

5세조........4세조......3세조.......2세조.....1세조

5대조........4대조......3대조.......2대조.....1대조


주어진 고조 ~ 의 계대에서 5세손으로 읽는 것은 이의‘3논지입니다.


동의논지로는 고조 5인 나는 기준인 ‘1세 고조의 4세손으로 읽습니다.


다른 것은 관두고 아버지는 나의 1세조(=1대조)입니까? 2세조(=2대조)입니까?”


아들은 나의 1세손(=1대손)입니까? 나의 2세손(2대손)입니까?”


물론 호칭은 아버지라고 불러야 하지만 몇 세조로는 아버지는 나의 1세조라고 읽거나 말합니다.


아버지께서 나의 1세조(=1대조)이지 시조(중시조)세수혹은 계대세수’ 1세를 ‘1세조라고 하지 않습니다.


1때의 一世祖는 한자어이고 이의 우리말은 一世^ 로 나타내어야 하고 이는 ‘1세인 조상(선조)’의 뜻으로 해석하여야 합니다.


이외에도 우리말 ‘5세인 후손을 한자어 五世孫으로 표기하고 우리말 ’5세인 조상을 한자어 五世祖로 기록한 곳이 여러 곳 있으나 이는 몇 세손몇 세조를 우리나라 동의식 표기로 나타낼 줄 몰라서 ’5=5세손. 5=5세조로 같은 뜻으로 나타낸 것이 아니고 중국 한자어로 나타낸 것입니다.


=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기록한 용례


경주이씨 족보에도 '이의'와 '3론'으로 읽은 용례가 있습니다.


대종보 P151  左贊成襄平月城君諱鐵堅神道碑(좌찬성 양평 월성군 휘 철견 신도비)

-僉樞公十四世孫咸鏡道觀察使裕元識(첨추공 14세손 함경도 관찰사 유원지)


[僉樞公十四世孫咸鏡道觀察使裕元識 (첨추공 14세손 함경도 관찰사 유원지)


- 귤산공(橘山公. 휘 유원. 고종임금 때 영의정)께서 양평공 신도비문에 자신을 [僉樞公十四世孫]으로 기록하였습니다.


중시조세수로 첨추공(僉樞公. 휘 숭수崇壽)은 중조 21이고 귤산공(橘山公. 휘 유원裕元)은 중조 34세이니 계대세수로 14세입니다.


=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어 ‘14=14세손으로 나타내고 기록한 것입니다.


상서공파 21세 첨추공(휘 숭수) ~ 34세 귤산공(휘 유원)까지의 계대


21- - → ②22→ ③23→ ④24→ ⑤25→ ⑥26→ ⑦27

첨추공(숭수)....성무..........예신..........몽량.........항복..........정남..........시술.........

1().............2().....3().....4().....5().....6()......7().....

(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5세손........6세손.......

 

28→ ⑨29→ ⑩30→ ⑪31→ ⑫32→ ⑬33→ ⑭34

.세필.........정좌..........종주..........경관.........석규..........계조..........귤산공(유원)

8()......9().....10()...11()...12()...13()...14()

7세손.........8세손........9세손.......10세손......11세손.....12세손......13세손

 

귤산공(휘 유원)께서 동의논지로 자신을 僉樞公十三世孫(첨추공 13세손)’임을 몰라서 僉樞公十四世孫(첨추공 14세손)’으로 기록한 것이 아니고 僉樞公十四世孫의 원뜻은 僉樞公^ 十四世^ 으로 우리말로는 첨추공 14세인 후손인데 한자어는 띄어쓰기가 없어 이를 붙여 쓰다 보니 僉樞公十四世孫(첨추공 14세손)’으로 기록한 것입니다.


전주이씨 광평대군세보(정사년 간행) 287면 고양부정 묘갈명 1행  - 소세양 찬(蘇世讓撰)


[*世宗莊憲大王五世孫(세종장헌대왕5세손).....]


- 고양부정을 세종 임금의 5세손으로 기록하였습니다.


1세 세종 ~ 5세 고양부정공의 계대


1- - 2- - 3-- 4-- 5

세종...........광평대군....영순군......청안군......고양부정

1(?).....2(?)....3세손........4세손........5세손 - '이의'. '3론'으로 읽음.

(기준)........1.........2손........3세손........4세손 - '동의'로 읽음.

* 5=5세손으로 =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은 '이의. 3론'의 용례입니다.


이때의 ‘5=5세손으로 읽은 ‘5세손의 뜻은 ‘5^ ’. ‘5세인 후손의 뜻입니다


상기보 280. 문성부정 묘갈명 1- 성균관 지제교 沈思順撰(심사순 찬)


[*世宗大王五世孫(세종대왕 5세손). 曾祖(증조) 광평대군. () 영순군 () 남천군...,,.]


- 문성부정공을 세종 임금의 5세손으로 나타내었습니다.


1세 세종 ~ 5세 문성부정공의 계대


1- - 2- - 3- - 4- - 5

세종...........광평대군....영순군.......남천군.......문성부정

고조...........증조.......................................()

1(?).....2(?)....3세손.........4세손.........5세손 - '이의'  '3론'으로 읽음.

(기준)........1손.........2손........3세손..........4세손 - '동의'로 읽음.


*증조가 광평대군이시니, 고조가 세종 임금입니다.

 

세종 임금의 五世孫(5세손)이 문성부정공으로 ‘5=5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었습니다.


이때의 ‘5=5세손으로 읽는 ‘5세손의 뜻은  ‘5^ ’. ‘5세인 후손의 뜻입니다


위의 용례와 같이 족보나 문헌에서 '이의'논지의 '세==세손'. '대=대조'로 읽는 용례가 있고 '3론'의 논지로 아래로 '세=대=세손=대손' . 위로 '세=대=세조=대조'읽는 것과 같이 기록한 용례도 있습니다.


이러한 용례의 五世孫은 '5世^ 孫' . '5世인 後孫'으로 해석하여야 하고 五代祖는 '5代^ 祖' . '5代인 祖上'의 의미로 해석하여 읽어야 바르게 읽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