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중시조 37세는 37세손으로 말하지 않습니다.

녹전 이이록 2017. 2. 9. 09:56

중시조 37세는 37세손으로 말하지 않습니다.



[*익제공파입니다.


*저희 아빠가 돌림자로 규자를 쓰시는데 36세손으로 알고 있거든요


*그럼 제가 37세손이란 말인가요? 19살인데 37세손이 가능한가요?]


YC


말씀하신 아버지 한글 돌림자로는 알 수가 없습니다.


아버지를 중심으로 조부님과 본인의 한자 이름자를 올려주시면 답변에 참고가 됩니다.


답변) △이이록


[*익제공파]


- '익제공파'가 아니고 '익재공파'입니다.


할아버님의 호가 익재(益齋- 휘 제현)이기 때문에 호를 따서 대파명으로 하였습니다.


익재는 드릴 (), 목욕재계할 ()자로 益齋(익재)입니다.


[*저희 아빠가 돌림자로 규자를 쓰시는데 36세손으로 알고 있거든요. *그럼 제가 37세손이란 말인가요?]


- 아버님이 경주이씨 익재공파로 '규()'자 항렬이 맞다면 경주이씨 항렬제차 표에 보면 '()' 항렬은 중조(중시조) 36(=36)입니다.


그러면 종친님은 아버지 '규'항렬 다음인 '()'항렬로 중조 37(=37)이고 아드님은 '()'자 항렬로 38(=38)입니다.


아버님이 '()'자 항렬이시라면 중조(중시조) 36()중시조님으로부터 ‘36번째의 후손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러면 아버지는 돌림자 자를 쓰는데 36세손으로 알고 있고 종친님은 37세손이라고 말하고 있는데 이는 잘못 말하고 있습니다.


그냥 아버지는 항렬로 중조(중시조) 36이고 종친님은 항렬로 중시조 37라고 말을 해야 바르게 말하는 것입니다.


중조 36세를 36세손으로 말할 수 없습니다.


36세와 36세손은 뜻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36세는 36대로 윗대인 조상부터 헤아려 내려와 36번째 후손으로 읽은 것이고 36세손은 36대손과 같은 뜻으로 중시조 37항렬은 모두 중시조의 36세손으로 읽고 말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아래의 표와 같이 종친님은 중시조님의 36세손(=36대손)’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중시조 36(=36)36세손(=36대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으면 안 됩니다.


(=)와 세손(=대손)은 엄연히 그 뜻이 다른데 같이 읽을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중시조 1~ 17세 익재공 ~ 37항렬까지의 계대


1- - 2---17--- 36- - 37

소판공......병부령공........익재공...............‘항렬........‘항렬

거명..........금현...............제현................................

중시조............................익재공파 파조....아버지..........

(기준).......1세손.............16세손...............35세손.........36세손

(기준).......1대손.............16대손...............35대손.........36대손

16세조.....15세조...........(기준).................19세손.........20세손

16대조.....15대조...........(기준).................19대손.........20대손


중시조 37세인 항렬 종친님은 중시조님의 36세손(=36대손)’이고 익재공의 20세손(=20대손)’입니다.


[19살인데 37세손이 가능한가요?]


- 나이와 몇 세손에 대하여 어떤 상관이 있는 듯 말씀을 하는 것 같은데 나이와 세손은 아무런 관계가 없습니다.


19살도 37세가 있고 1살도 37세가 있고 100살도 중시조 37세가 있습니다.


다만 세수에 따른 항렬자로 중시조 몇 세인가?’를 알고 이로써 몇 세손(=대손)’인가를 헤아려 읽습니다.


그러니까 종친님은 '()'자 항렬이 맞다면 중조 37세이고 중시조님의 36세손(=36대손)이 되는 것입니다.


쉽게 말하여 세손(=대손). 세조(=대조)는 세(=)수에 -1를 한 수에 세손(=대손). 세조(=대조)의 단위를 붙여 읽으면 됩니다.


종친님의 부친은 중조 36(=36)중시조님의 35세손(=35대손)’이고 익재공의 19세손(=19대손)’이고 종친님은 중조 37(=37)중시조님의 36세손(=36대손)’이고 익재공의 20세손(=20대손)입니다.


한 가지 더 덧붙여 말씀드리면 현재도 ()世孫(세손)을 같은 뜻으로 읽는 종친 분들이 계십니다.


세와 대는 뜻이 다르다.’는 논리를 '이의론'이라고 합니다.


그와 반대로 세와 대는 같은 뜻으로 읽는 논리가 '동의론'이라고 합니다.


동의논지인 세와 대는 같은 뜻으로 읽는 전 부산대학교 교수 이병혁 박사의 아래와 같은 글이 있습니다.


()나라 선종(宣宗)의 도광(道光) 26(1846)에 편집하여 지경학재장판(知敬學齋藏板)에서 출판한 피휘록(避諱錄)이란 책이 있다.


이 책은 중국 역사상 유명한 사람의 이름이 나올 때 이것을 감히 바로 읽지 못하고 달리 읽는 것을 고증하여 보인 것이다.


이 책의 3권에 당태종(唐太宗) 이세민(李世民)의 이름을 당시 사람들이 다른 글자로 고쳐서 읽는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당태종의 이름이 이세민(李世民)이기 때문에 당나라 사람들은 이를 감히 그대로 읽을 수 없어 모든 글에서 세()자는 대()자로 바꾸어 읽었다.


이를 학술적인 용어로 피세작대(避世作代)라고 했다.


즉 세()자를 피해 대()자로 바꾸어 썼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잘 다스려진 세상을 본래 치세(治世)라고 했으나 이를 치대(治代)로 고쳤다.


또 세종(世宗)은 대종(代宗)이라 고쳤다.


이처럼 세()자만 바꾼 것이 아니라, ()자도 바꾸어서 본래 민부(民部)라 쓰던 것을 호부(戶部)라고 했다.


이때부터 몇 세()라는 말도 몇 대()로 바꾸어 쓰게 되었다


당나라가 멸망한 후에는 피휘할 필요가 없어 세와 대를 혼용하여 사용하였다.


그런데 이의론이라는 것이 길게는 한일 합방이후로 짧게는 해방이후에 몇몇 교수와 학자가 세와 대에 대하여 새로운 해석으로 나온 설입니다.


[권태현 선생은 1930년 이전에는 세와 대를 다른 뜻으로 기록한 족보와 문헌이 없다는 것입니다.]


우리 경주이씨 조상님들은 '세와 대를 동의'로 읽어 기록을 남겼습니다.


대종보와 문헌에 남긴 . . 세손. 대손. 세조. 대조의 기록 59건을 찾아 계대를 따져보니 56건이 동의로 읽었고 1건이 이의로 읽었으며 1건은 동의이의도 아니었습니다.


이의논지에서는 =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고 있습니다.


중조 39항렬이 이의논지인 =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어 ‘39=39세손으로 읽어 39세손이라고 하는 것으로 이의논지에 의해 읽은 것입니다.


世孫의 의미와 쓰임이 엄연히 다른데 같은 뜻으로 읽고 있습니다.


5=5세손. 20=20세손. 39=39세손... 등으로 잘못 읽거나 말하고 있습니다.


나에게서 가까운 조상이 작은 수로 읽어져야 하는데(나를 기준으로 아버지 1세조, 할아버지 2세조. 증조할아버지 3세조, 고조할아버지 4세조...등과 나를 기준으로 아들 1세손. 손자 2세손, 증손자 3세손, 현손자 4세손...) 나에게 가까울수록 큰 수로 읽는 잘못된 논지입니다.


[=. 세손=대손. 세조=대조]로 등호(=)좌우의 용어를 같은 뜻으로 읽어야 합니다.


1세 중시조 ~ 39항렬의 계대


1- 2---17---35- 36- 37- 38- 39

소판공....병부령공.....익재공...........().......().......().......().......()

거명.......금현.............제현....................................................

1.........2..............17.............35.........36.........37.........38.........39

(기준).....1세손...........16세손.........34세손......35세손......36세손.....37세손.....38세손

(기준).....1대손...........16대손.........34대손......35대손......36대손.....37대손.....38대손

16세조...15세조.........(기준)...........18세손......19세손......20세손.....21세손.....22세손

16대조...15대조.........(기준)...........18대손......19대손......20대손.....21대손.....22대손


중시조 39세 '상'항렬은 '중시조(익재공파 등 중. 소파명)39세손'으로는 말하지 않습니다.

'중시조(익재공파 등 중. 소파명)39세' . '중시조(익재공파 등 중. 소파명)39세 ^ 손(띄어 쓰기)' .

'중시조(익재공파 등 중. 소파명)39세 후손' . 중시조님의 38세손(=38대손)'이고 '익재공의 22세손(=22대손)' 으로 말하여야 바르게 말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