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대=세’의 설명

녹전 이이록 2017. 1. 26. 10:45

=의 설명



아래와 같은 대와 세에 대한 설명의 글이 있습니다.


문장마다 소견을 올립니다.


1. =(대와 세는 같은 의미로 사용됨)


*. 시조, 중시조 또는 어느 기준 인물로부터 몇 번째 인물인가 하는 순서의미


*. 三代同堂(3대동당) 또는 四代奉祀(4대 봉사) 할 때 등의 직계 인물수의 단위


*. ‘AB사이는 몇 대이다.’ 할 때의 간격의미 (‘父子사이1이고, ‘父子2이며, 2)


*1) 여기에서 1라 함은 사람의 代數(대수)가 아니고, 30時間(시간)을 나타내는 또는 이며, 1()의 혈연의 거리가 되는 것이다.


*2) 근래 들어 ,의 의미이고 의 의미라는 일부의 주장도 있음


(父子사이는 로는 1, 로는 2라는 주장. *위로는 : 代祖. 아래로는 : 世孫 이라는 주장) 이 주장은 世孫의 의미가 옛 조상님들의 각종 문헌이나 비문과 달라 큰 혼란이 생길 것임.


세와 대는 같은 뜻이고 같은 말로 사용된다고 하면서도 아래의 글에는 달리 설명하는 부분이 있어 문장 하나하나에 *표를 하고 아래에 [...........]로 나타낸 뒤 소견을 올립니다.


[*. 시조, 중시조 또는 어느 기준인물로부터 몇 번째 인물인가 하는 순서의미]


소견)

시조, 중시조 또는 어느 기준인물로부터 몇 번째 인물인가 하는 순서의 의미도 있습니다.


그러나 세와 대는 같은 뜻으로 시조 혹은 중시조나 주어진 계대에서 누그나 기준을 정하면 기준부터 위로든 아래로든 순번대로 헤아려 읽은 수 뒤에 붙여 읽는 용어이고 단위입니다.


위 ㅔ와 대에 대한 설명에 보충설명된 말입니다.


[*. 三代同堂(3대 동당) 또는 四代奉祀(4대 봉사) 할 때 등의 직계 인물수의 단위]


소견)


‘3대 동당은 한 집안에 3(. . )가 같이 살고 있는 것을 말하니 3세라고 해도 되니 三世同堂(3세 동당)이라고 해도 됩니다.


기제사는 4(고조부모. 증조부모. 조부모. 부모)봉사이고 '대=세'와 같은 뜻으로 4=4세이니 ‘四世奉祀(4세봉사라고 해도 됩니다.


한때 上代下世(상대하세)라는 '이의'논지의 기본 원칙이 오랫동안 사용되어 관습상 주로 ‘4대 봉사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 ‘AB사이는 몇 대이다.’ 할 때의 간격의미 (‘父子사이1이고, ‘父子2이며, 2)]


소견)


=를 같은 뜻임을 표기하고 같은 뜻으로 읽는다면 ‘‘AB사이는 몇 대이다.’ 할 때의 간격의미인 父子사이는 1이고, 父子2이며, 2이라는 말은 혼란스럽게 합니다.


A-. 1(=1)B-, 2(=2)의 사이는 ‘1가 아니고 1대간(=1세간)입니다.


父子에서 =로 같은 뜻으로 읽으니까 1(=1)이고 2(=2)라고 읽는데 그 父子사이1(=1)라고 하면 부자 1. 2(=1. 2)와 혼란이 옵니다.


아버지와 아들 사이는 몇 세이냐? 고 물으면 아버지 1, 아들 2세일 때 아버지와 아들은 몇 세 차이이냐? 라고 묻는 것과 같은 말이니 ‘1세 사이’, ‘1세 차이라고 합니다.


부자사이 1대 사이(1대간)만을 30년으로 말하는 것이 아니고 부자사이 1세간도 30년으로 말합니다.


위에서는 =로 같은 뜻으로 읽는다. 라고 해 놓고 1대간만 30년으로 본다면 1세간은 몇 년으로 읽어야 할까요?


이의논지의 기본 원칙이 [2대는 1]로 읽습니다.


1대가 30년으로 읽는다면 2대는 60년이고 1세는 60년으로 읽어야 합니다.


그것이 아니고 1(=1)는 대강 30년으로 보고 년수를 계산합니다.


고조 ~ ()의 계대에서는 아래와 같이 표기합니다.


36-- 37-- 38- - - 39- - 40중시조세수

36-- 37-- 38- - - 39- - 40- 중시조세수

.....................................................- 항렬

1..............2..............3................4...............5- 계대세수

1..............2..............3................4...............5- 계대세수

... 1세간 ...... 1세간...... 1세간 ...... 1세간 ...

... 1대간 ...... 1대간...... 1대간 ...... 1대간 ...

.............4세간(4세사이)=4대간(4대사이)...............

.................................().............................


할아버지 ~ ~ 손자의 계대에서 계대세수는 할아버지는 1, 아버지는 2, 나는 3세로 읽습니다.


이 때 1세 할아버지와 2세 아버지 사이는 ‘1세간=1대간으로 나타내고 2세 아버지와 3세인 나와의 사이는 역시 ‘1세간=1대간으로 나타내며 계대세수 1세 할아버지와 5세인 손자와의 사이는 ‘4세간=4대간으로 나타냅니다.


이를 다시 1세나 1대로 나타내면 계대세수 1, 1대와 같이 읽기 때문에 혼란을 일으킵니다.


그래서 1(=1)2(=2) 사이는 ‘1(=2)사이‘1세간(=2대간)’으로 표기하여야 구분이 됩니다.


[*1) 여기에서 1라 함은 사람의 代數(대수)가 아니고, 30時間(시간)을 나타내는 또는 이며, 1()의 혈연의 거리가 되는 것이다.]


소견)


12사이는 1대라고 표기하는 것이 아니라 ‘1(=1)사이혹은 ‘1세간(=1대간)’으로 나타내고 년수를 대강 30년으로보는 것입니다.


1(=1). 1대간(=1세간)30년으로 보는 까닭은 한 사람의 일생을 평균 60살로 보면 그 중간인 30살에 평균적으로 자손이 생기는 것으로 보고 60살의 반인 30살을 ‘1=1’ , ‘1세간(=1대간)으로 보고 년수를 30년으로 본 것입니다.


대수(=세수)를 가지고 대강 몇 년인가?를 아래와 같이 계산합니다.


세수가 5세이면 5*30=150. 150년입니다.


4세 사이(=4세간)5세까지니까 같은 년수로 계산됩니다.


세수(=대수)10(=10)이면 10*30=300. 대강 300년으로 봅니다.


[*2) 근래 들어 ,의 의미이고 의 의미라는 일부의 주장도 있음.]


소견)


[. 시조, 중시조 또는 어느 기준인물로부터 몇 번째 인물인가 하는 순서의미


. 三代同堂(3대동당) 또는 四代奉祀(4대 봉사) 할 때 등의 직계 인물수의 단위


. ‘AB사이는 몇 대이다.’ 할 때의 간격의미 (‘父子사이1이고, ‘父子2이며, 2)]

의 글에서 . 의 의미이고 의 의미라는 말로 세와 대는 뜻이 다르다.’ 라고 하는 말과 같아 세와 대를 달리 구분하여 읽는 것 같이 말하는 일부 주장도 있다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위 . . 모두 =로 같은 뜻으로 읽습니다.


시조(혹은 중시조)... 123- ..........

시조(혹은 중시조)....12- 3대 - .......... 


3대동당(三代同堂) = 3세동당(三世同堂)


1(=1). 2(=2) : 1=130

부자 사이(부자간) 부자간 1세간=1대간 : 30


계대세수 1 ~ 5세는 조상과 후손 사이를 ‘4세간이나 ‘4세 사이로 말합니다.


[*위로는 : 代祖. 아래로는 : 世孫 이라는 주장 이 주장은 世孫의 의미가 옛 조상님들의 각종 문헌이나 비문과 달라 큰 혼란이 생길 것임.]


소견)


위로는 () : 代祖(대조)’로 읽고 아래로는 () : 世孫(세손)’으로 읽어야 한다. 라는 주장은 잘못된 논지입니다.


=. 세손=대손. 세조=대조로 등호(=)좌우의 용어를 같은 뜻으로 읽는 것이 바른 논지입니다.


다만 世孫(세손)’의 의미는 두 가지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세손世孫으로 한 단어로 읽는 경우와 ^ - 두 단어로 나누어 읽는 경우입니다.


四世孫에서 주어진 계대가 ‘1세 고조 ~ 5세 나일 때 ‘5세인 나는 1세인 고조의 4世孫(=4代孫)이다로 말하는 경우와 四世孫에서 四世^ 으로 을 띄어 읽고 ‘4세인 후손으로 해석하는 경우입니다.


이의논지는 대체로 世孫^ - 두 단어로 나누어 해석하는 경우입니다.


중시조 17세 익재공(휘 제현)을 중시조로 부터는 ‘17세손 익재공이라 호칭하고 후손들은 ‘17세조 익재공이라고 표기하거나 호칭하고 있습니다.


이는 ‘이의논지로 잘못 말한 것입니다.


'17世孫 익재공'은 한자어로 표기된 것으로 이를 우리말로는 '17世^ 孫 익재공'으로 世와 孫을 띄어 쓰고 이를 '중시조 17後孫 익재공'으로 해석하여 읽어야 바르게 말하는 것입니다.


'17世祖 익재공'은 한자어로 읽은 것이고 이를 우리말로 '17世^ 祖 익재공'으로 世와 祖를 띄어 쓰고 이를 '중시조 17祖上 익재공'으로 해석하여 읽어야 바른 표기입니다.


동의논지로는 익재공은 중시조님의 16세손(=16대손)’이고 후손 40항렬의 23세조(=23대조)‘말하여야 바르게 말하는 것입니다.


[2세는 1대]. [세-1=대]. [세=세손]. [대=대조]. [상대하세]. [대불급신]의 기본 원칙을 적용하여 읽는 '이의'논지로 읽으니까 '世孫(세손)'의 사용에 혼란이 있다는 것이나 우리 조상님들께서 에부터 사용하고 기록으로 전한 '동의'논지로 읽고 쓰면 조금의 혼란도 없음을 말씀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