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 수정
■ ‘나의 뿌리’ 수정
‘나의 뿌리’라는 제목으로 경주이씨의 유래와 내력. 조상님에 대한 행적 등을 고증자료에 의하여 짓고 쓴 글이라면서 글이 네이버 모 블로그에 올라 있는데 오타, 오류가 많아 잘못된 내용을 ▲[............]로 나타내고 소견)을 올립니다.
【경주 이씨의 시조는 이 알자 평자(李謁坪)이시고 기원전 117년 하늘에서 박바위(瓢巖)에 내리시어 알촌 양산 촌장으로 6촌장과 더불어 처음으로 화백회의(和白會議)를 주도하셨다,
그 어른께서는 알에서 깨어난 박혁거세를 왕으로 추대하고 4년간 임금을 대신하여 통치하신 신라 건국의 원훈이시었다.
우리나라 최초로 유리왕 9년에 이씨로 사상 받았고 *법흥왕 23년에는 충헌공으로 시호를 받았으며, 무열왕 3년에는 은열왕에 추봉되시었다.
뒤를 이어 신라 말에 진골로 소판 벼슬을 지낸 소판공(蘇判公) 이 거자 명자(李居明)에 이르러 비로써 선대의 계대를 정립하였으니 이 어른이 경주이씨의 중시조이시다.
경주이씨는 사성의 으뜸 종문으로서 뒤에 *우계, 차성, 합천, 아산, 재령, 원주로 분적 되었다. 소판공 이후 경주이씨는 천자만손으로 번창하여 *조선조에만 3명의 정승과 8명의 대학제 등 178명의 과거 급제자를 배출한 이 땅에 대표적인 명문 거족이다.
고려 말에 익재 이제현 선생은 대학자이자 문장가로 원도당이 정동성(征東省)을 설치하여 우리나라를 병탐코저 망동할 때, 공은 정치는 그 나라에 맡기고 백성은 그 나라 백성끼리 살게 해야 된다고 국기국인기인(國基國人其人)이라는 중용과 구경에서 도출한 여섯 글자를 인용하여 준절히 변박하여 원도당에 망동을 조용히 잠재운 구국의 영웅이시며, *석탄 이존오는 심돈을 규탄하고 절의와 충성을 지켰다.
조선조 중엽 8문장으로 꼽히는 이공린의 여덟 아들 팔별이 있고, 임진왜란 때 황해도에서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운 사류재 이정암, 지퇴당이 정형 여덟 형제 팔정이 있으며, 오성과 한음이 일화로 유명한 오성부원군 백사 이항복은 임진왜란의 국란을 극복한 조선조 4대 명 재상으로 청백리에 올랐으며, 은암 이수일은 해전의 충무공 이순신과 비견되는 육전의 충무공이었고, 정익공 이완 대장은 효종을 도와 북벌 계획을 추진했다.
벽오 이시발은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활약했고 이괄의 난을 진압하였으며, 화곡 이경억은 애민선정으로 칭송을 받은 정승이시다.
이유태는 향약(鄕約)으로 치국, 경제개혁에 앞장선 대학자이었고, 오천 이종성은 영조 때 탕평책 수립에 공이 컸다.
조선후기 이벽은 천주교를 처음 선교한 성조였으며, 한말 성재 이시영은 회영 등 6형제가 함께 만주에 망명 신흥 무관학교를 세워 독립운동을 하다가 해방 후 귀국 초대 부통령을 지낸 바 있다.
보재 이상설은 북간도 용정에 서전서숙을 세워 교포들의 교육과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다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 파견된 정사로 대한 광복군 정부의 부통령이었으며, 상화 이상화는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를 발표한 민족 시인이었으며, 호암 이병철은 한국경제발전의 상징인 삼성의 신화를 이룬 재계의 거목이시다.
이렇듯 경주이씨는 나라의 위난을 당할 때 분연히 일어나 나라를 지킨 충절의 가문임을 만고에 자랑하며, 이알평 시조께서는 오늘의 민주정치를 제창하신 분으로 후세 만인의 본보기이시다.
위의 글은 승조충신효우시아상전가법고중자료(崇祖忠信孝友是我相傳家法考證資料)에 의하여 짓고 쓰다.
- 월암
[계 파]
경주이씨는 중시조 *이거명의 17~21세손에서 크게 14파로 나뉘고 다시 아래로 내려오면서 크고 작은 70여개 파로 분파된다.
-평리공파(評理公派) : *16세손 이인정(李仁珽)을 파조로 한다.
-이암공파(怡庵公派) : *17세손 이관(李琯)을 파조로 한다.
-익재공파(益齋公派) : *17세손 이제현(李齊賢)을 파조로 한다.
-호군공파(護軍公派) : *17세손 이지정(李之正)을 파조로 한다.
-국당공파(菊堂公派) : *17세손 *이천을 파조로 한다.
-부정공파(副正公派) : *17세손 이매(李邁)를 파조로 한다.
-상서공파(尙書公派) : *17세손 *이과를 파조로 한다.
-사인공파(舍人公派) : *17세손 *이수(李蓚)를 파조로 한다.
-판전공파(判典公派) : *15세손 *이강을 파조로 한다.
-월성군파(月城君派) : *21세손 이지수(李之秀)를 파조로 한다.
-직장공파(直長公派) : *19세손 이양오(李養吾)를 파조로 한다.
-석탄공파(石灘公派) : *19세손 이존오(李存吾)를 파조로 한다.
-진사공파(進士公派) : *19세손 *이양중(李養中)를 파조로 한다.
-교감공파(校勘公派) : *19세손 이존사(李存斯)를 파조로 한다.】
수정. 소견)
▲[법흥왕 23년에는 *충헌공으로 시호를...]
소견)
현재 우리 경주이씨는 시조님의 시호를 '문선(文宣)'으로 호칭하고 있습니다.
위 글에서는 '충헌(忠憲)'으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시조님의 시호가 충헌(忠憲)이냐? 문선(文宣)이냐? 를 두고 조사 중입니다.
중앙화수회 홈페이지나 다른 자료에는 모두 시조 시호를 ‘문선(文宣)’으로 하여 종인들 모두 그렇게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연찮게 인터넷에 올라온 글 4곳에서 시조시호를 ‘충헌’으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 대전 소재 ‘성씨 박물관’ 야외에 건립된 경주이씨 비석에 각자된 시조 시호가 ‘충헌(忠憲)’으로 새겨져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 중앙화수회에 질의를 하니 여러 자료를 찾아 본 결과 오래전인 1929년에 간행된 ‘표암’지에 한자로 ‘문선(文宣)’이라고 기록된 것을 최고 오래된 기록으로 알려 왔습니다.
그런데 인터넷에 올라온 내용을 보면 위 글의 '충헌'을 포함하여 모두 4군데에서 ‘충헌’이라는 시호를 찾아 내었습니다.
왜 시조님의 시호가 '충헌'으로. '문선'으로 나뉘어 전해오는지 알 수 없습니다.
그런데 검색결과 ‘문선(文宣)’이라는 시호가 또 한 분이 있습니다.
[경주김씨 김요(金瑤) 문선공(文宣公) . 자는 병옥(秉玉) 관은 삼중대광상장군계림부원군(三重大匡上將軍鷄林府院君) 시(諡) 文宣이요] 라고.....
성현의 휘(諱)는 피휘(避諱)해도 시호는 피시(避諡)하지 않아도 되는 모양입니다.
'충무'라는 시호를 받은 분이 여럿이기 때문에 성현에게 주어진 ‘文宣(문선)’ 시호도 경주이씨 시조나 경주김씨 김요(金瑤)에게 주어졌는가 봅니다.
▲[우계, 차성, 합천, 아산, 재령, 원주로 분적 되었다.]
- 우계, 차성, 합천, 아산, 재령, 원주 ⇒ 우계, 차성, 합천, 아산, 재령, 원주, (장수이씨. 진주이씨) 누락
▲[조선조에만 *3명의 정승과 8명의 *대학제] ⇒ 조선조에만 8명의 정승과 3명의 대제학
- ‘대학제’ ⇒ ‘대제학’으로 수정.
‘3명의 정승과 8명의 대학제’ ⇒ ‘8명의 정승(영의정 4명. 좌의정 2명과 우의정 2명)’과 ‘대제학 3명’.
을 배출하였다고 하여야 합니다.
▲[석탄 이존오는 *심돈을 규탄하고]
- 심돈 ⇒ 중 ‘신돈’ 으로 수정
▲[*이거명의 *17~21세손에서 크게 14파로 나뉘고...]
- 이거명의 15~21세 에서 크게 14파로 나뉘고....
- 이거명의 15~ 21세^ 손 에서 크게 14파로 나뉘고....
- 이거명의 15~ 21세 후손 에서 크게 14파로 나뉘고....
- 이거명의 14~ 20세손 에서 크게 14파로 나뉘고....로 고쳐 읽어야 합니다.
▲ 아래 *표시는 ⇒ 뒤와 같이 고쳐 읽는 것은 바릅니다.
*파명 뒤에는 ‘몇 세손(=대손)’으로는 나타내지 않고 ‘몇 세’로 중시조세수로만 나타냅니다.
왜냐하면 세손(=대손)은 조상과 후손 간에 항상 조상을 기준으로 후손을 헤아려 말하기 때문에 사람(인물)과의 관계를 말할 때 사용되는 용어이지 조직. 단체를 의미하는 ‘파명의 몇 세손(=대손)’으로는 어울리는 말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강아지를 한 마리, 두 마리....등으로 헤아리지 한 자루, 두 자루....등으로 헤아리지 않는 이치와 같은 것입니다.
[-평리공파(評理公派) : *16세손(⇒ 16세. 16세^ 손. 16세 후손. 중시조의 15세손) 이인정(李仁珽)을 파조로 한다.
-이암공파(怡庵公派) : *17세손(⇒ 17세. 17세^ 손. 17세 후손. 중시조의 16세손) 이관(李琯)을 파조로 한다.
-익재공파(益齋公派) : *17세손(⇒ 이암공파와 같이 표기) 이제현(李齊賢)을 파조로 한다.
-호군공파(護軍公派) : *17세손(⇒ 이암공파와 같이 표기) 이지정(李之正)을 파조로 한다.
-국당공파(菊堂公派) : *17세손(⇒ 이암공파와 같이 표기) 이천(⇒ 李蒨)을 파조로 한다.
-부정공파(副正公派) : *17세손(⇒ 이암공파와 같이 표기) 이매(李邁)를 파조로 한다.
-상서공파(尙書公派) : *17세손(⇒ 이암공파와 같이 표기) 이과(⇒ 李薖)를 파조로 한다.
-사인공파(舍人公派) : *17세손(⇒ 이암공파와 같이 표기) 이수(李蓚)(⇒ 이조李蓨)를 파조로 한다.
-판전공파(判典公派) : *15세손(⇒ 15세. 15세^ 손. 15세 후손. 중시조의 14세손) 이강(⇒ 李康을+羽) 파조로 한다.
-월성군파(月城君派) : *21세손(⇒ 21세. 21세^ 손. 21세 후손. 중시조의 20세손) ⇒ 이지수(李之秀)를 파조로 한다.
-직장공파(直長公派) : *19세손(⇒ 19세. 19세^ 손. 19세 후손. 중시조의 18세손) 이양오(李養吾)를 파조로 한다.
-석탄공파(石灘公派) : *19세손(⇒ 직장공파와 같이 표기) 이존오(李存吾)를 파조로 한다.
-진사공파(進士公派) : *19세손(⇒ 직장공파와 같이 표기 ) 이양중(李養中) (⇒ 이존중李存中)를 파조로 한다.
-교감공파(校勘公派) : *19세손(⇒ 직장공파와 같이 표기 ) 이존사(李存斯)를 파조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