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몇 세조’와 ‘몇 대조’로 혼용한 용례 – 5

녹전 이이록 2016. 8. 12. 09:09

몇 세조몇 대조로 혼용한 용례 5



타 성씨의 여러 족보와 비문 그리고 문헌에 몇 대조와 몇 세조로 기록된 용례입니다.


年譜(연보) 老洲(吳熙常)(노주-오희상-) 卷之二十七(권지 27)


[丁卯先生四十五歲十月往省龍仁晩峴十二代祖司正公墓


轉往月谷省墓 甲申先生六十二歲. 十一月往陽城五世祖天坡公?主埋安


해주오씨 1세 휘 인유(仁裕) ~ 21세 휘 희상(熙常) 계대

仁裕→ ②주예→ ③民政→ ④-→ ⑤→ ⑥孝沖→⑦士雲→⑧

인유........주예.........민정..............................효충.......사운...............

20대조....19대조.....18대조.....17대조...16대조...15대조...14대조...13대조..

20세조....19세조.....18세조.....17세조...16세조...15세조...14세조...13세조..

 

→ ⑩戒從 → ⑪賢卿→ ⑫慶雲 → ⑬壽億 → ⑭定邦 → ⑮士謙→  ⑯

...........계종.........현경.......경운.........수억.........정방........사겸.................

12대조....11대조....10대조....9대조.......8대조.......7대조......6대조.......5대조

12세조....11세조....10세조....9세조.......8세조.......7세조......6세조.......5세조

十二代祖司正公.................................................................................五世祖天坡公..

 

斗寅 → ⑱泰周 → ⑲→ ⑳載紹 (21)熙常

두인...........태주.....................재소...........희상

4대조.........3대조........2대조.....1대조.........(기준)

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


[12代祖 5世祖]


- 해주오씨 휘 희상(熙常) 계대에서 보다시피 휘 熙常(희상)22세이고 천파공 휘 ()16. 사정공 휘 ()9세이며 1세의 휘는 仁裕(인유)이다.


世祖(세조=代祖대조)’로 읽는 방법은 휘 熙常(희상)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포함시키지 않고) 기준의 다음 윗대인 아버지를 1세조(=1대조)로 하여 그 윗대를 헤아려 올라간다.


16세인 천파공(天坡公) 휘 숙()5세조(=5대조)가 되며 9세인 司正公(사정공) 휘 윤()十二代祖(12대조=12세조)로 읽게 되고 1세인 휘 仁裕(인유)는 노주공(老洲公. 熙常희상)20세조(=20대조)가 된다.


梧里先生年譜(오리선생 연보) 梧里先生續集(오리선생 속집) 附錄(부록) 卷之一(권지1)


[三十四年丙午公六十歲鋟梓先世碑文考咸川君碑文金相貴榮撰

三世祖秀泉君碣文沈公喜壽撰印作數十冊分諸宗族又以三條事付刻于其下]


전주이씨 오리선생(梧里先生) 원익(元翼)의 계대


三世祖秀泉君(貞恩)→ ②青杞君彪→ ③咸川君億載→ ④梧里先生元翼

3세조...............................2세조..............1세조.................(기준)

3대조...............................2대조..............1대조.................(기준)

증조............................................................................()

1세조................................2세조..............3세조................4(?)


[三世祖秀泉君=曾祖]


오리 선생(梧里先生) 휘 원익(元翼)이 기준이 되고 그다음 윗대(아버지) 함천군(咸川君) 휘 억재(億載)1세조. 청기군(靑杞君) 휘 표()2세조. 수천군(秀泉君) 휘 정은(貞恩)3세조가 된다.


*‘이의주장에서는 1秀泉君(수천군)1세조. 2靑杞君(청기군)2세조. 3세가 되는 咸川君(함천군)3세손으로 읽는다.


위 기록에서 3세조를 어떻게 읽었는가를 알면 지금까지 몇 십 년간을 잘못인 줄 모르고 이의주장에 심취되어 엉터리 세수를 읽거나 사용해 온 것을 깊이 후회할 것이다.

-------------

아래의 용례는 三世祖가 아닌 三世祖考에 대한 글입니다.


司諫院大司諫李公(聖尹)墓誌銘(사간원 대사간 이공-성윤-묘지명)


耳溪(洪良浩)(이계-홍양호-) 卷三十三(33)


[.....六傳而兵曹佐郞諱廷麟大司諫諱彦經刑曹判書諱春爲三世祖考也 ]


전주이씨 정린(廷麟) ~ 성윤(聖尹)의 계대

廷麟 → ②彦經 → ③- - - - 聖尹

정린...........언경..........춘제.......................성윤

兵曹佐郞....大司諫.......刑曹判書.................司諫院大司諫

1.............2...........3


*祖考(조고) - 돌아가신 할아버지


[爲三世祖考也(3세조고야)]


- 3(=3)에 걸친 돌아가신 할아버지이다.


즉 돌아가신 세 분의 할아버지를 三世祖考(3세조고)라고 한다..


대사간공 휘 聖尹(성윤)의 윗대 세 분 할아버지는 병조좌랑(兵曹佐郞) 휘 정린(諱廷麟)과 대사간(大司諫) 휘 산경(諱彦經)과 형조판서(刑曹判書) 휘 춘제()이다.


三世祖考(3세조고)’의 뜻은 三世祖(3세조)’와는 뜻이 다르다.


三世祖考(3세조고)’는 돌아가신 세분의 윗대조상님을 말한다.


우리말 한자어 三世祖(3세조)’는 나를 기준으로 하여 아버지를 1세조. 할아버지를 2세조. 증조할아버지를 나의 3세조(=3대조)라고 말할 때 쓰는 용어이다.


또 한가지 뜻으로는 三世祖는 우리말로 ‘3세인 조상을 의미하며 중국한자어로 '3世 祖'로 나타내나 중국 한자어는 띄어쓰기가 없어 붙여 써야 하므로 三世祖로 나타내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