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제(墓祭)에 대한 옛날 문답
■ 묘제(墓祭)에 대한 옛날 문답
인터넷에 올라 있는 자료로 옛날의 제사에 대한 문답과 설명으로 당시의 제사 사정을 알아볼 수 있기에 참고로 복사하여 올립니다.
◈ 사계전서(沙溪全書) 제41권 의례문해(疑禮問解) ○제례(祭禮) 묘제(墓祭) - 김장생(金長生)
[문]
《가례》에서 묘제를 반드시 3월에 지낸다고 한 것은 무슨 뜻입니까?
정조(正朝-설날)와 한식(寒食)과 단오(端午)와 추석(秋夕)에 지내는 제사는 그 경중에 대해서 말할만한 것이 있습니까?
오늘날의 풍습으로 말을 하면 정조(正朝)가 중할 듯한데 《격몽요결》의 경우에는 단지 한식(寒食)과 추석(秋夕)에만 성대한 제사를 지내고 정조(正朝)와 단오(端午)에는 간단하게 설행하고자 하였습니다.
이것은 무슨 뜻입니까?
[답]
3월 상순에 지낸다고 한 것은, 생각건대 주자(朱子) 역시 세속의 풍습을 따라서 한 것일 뿐이네.
4절일(四節日)의 제사는 바로 우리나라의 풍습이네.
율곡(栗谷)의 뜻은 봄과 가을을 중하게 여겼으므로 한식(寒食)과 추석(秋夕)에는 삼헌(三獻)을 올리고 나머지 제사에는 단지 일헌(一獻)만 올린 것이네.
그러나 고례에서는 역시 고거(考據)할 바가 없으니, 단지 인정을 참작해서 예(禮)를 정하여 조처하는 것이 마땅할 뿐이네.
[문]
주자(朱子)의 가법(家法)을 보면 묘소에 성묘하는 것은 한식(寒食) 및 10월 초하루에 하였는데《가례》에서는 단지 3월 상순에만 하였습니다.
이것은 어째서입니까?
오늘날 사람들이 묘소에 성묘하는 것도 역시 10월 초하루는 쓸 수가 없는 것입니까?
[답]
주자(朱子)가 평상시에 묘제를 행하면서는 한위공(韓魏公) 집안에서 제사 지내는 법식과 같이 하였는바《가례》에서 말한 것과는 과연 같지가 않네.
지금 영남(嶺南) 사람들은 단지 한식(寒食) 및 10월에만 지낸다고 하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제사를 4절일(정조. 한식. 단오. 추석)에 행해 온지가 이미 오래되어, 비록 마의(馬醫- 짐승을 치료하는 의사)나 농부와 같이 하찮은 자의 귀신일지라도 자손들에게 뒤늦게 봉양을 받지 않은 자가 없네.
이것으로 생각해 보면 세속을 따라 하는 것이 무방할 듯하네.
◈ 사계전서(沙溪全書) 제42권(卷之四十二) 의례문해습유(疑禮問解拾遺) 통례(通禮)
- 사당(祠堂) 김장생(金長生)
[문]
정조(正朝. 1월1일)와 한식(寒食. 4월5~6일)과 중오(重午. 5월5일)와 추석(秋夕. 8월15일) 등에 지내는 절사(節祀)를 세속(世俗)에서는 모두 분묘(墳墓)에서 행하고 가묘(家廟- 조상의 위패를 모셔놓고 제사를 지내던 집안의 사당)에는 제사를 지내지 않는데, 이것은 정례(情禮)에 있어서 온당치 못합니다.
정조(正朝. 설날)와 중오(重午. 단오. 5월5일)에는 가묘에서 제사 지내고, 한식(寒食)과 추석(秋夕)에는 분묘에서 배소(拜掃- 조상의 묘를 깨끗이 하고 돌봄)하는 것이 어떻습니까?
[답]
우리 집에서는 사시(四時. 4절일)의 묘제(墓祭)를 지내는 날 아침에 가묘(家廟)에서 간략하게 전(奠- 의식을 생략한 간략한 제사)을 올리네.
중원절(中元節. 7월15일)에는 소찬(素饌- 고기나 생선이 들어가지 아니한 반찬. 간소한 반찬)을 쓰지 않는다.
중원(中元)은 바로 7월 15일로 오늘날의 세속(世俗)에서 숭상하는 날일뿐만 아니라 《가례》의 속절(俗節)에도 들어가 있다.
한위공(韓魏公)은 부도(浮屠)의 법을 써서 소제(素祭- 변변치 않은 제사. 주로 곡식으로 올리는 제사)를 지냈는데, 주자는 쓰지 않았다.
주자가 말한 ‘7월 15일에는 쓰지 않았다.’라는 것은, 소찬을 쓰지 않았다는 것이네.
*부도(浮屠)의 법 - 죽은 사람을 파묻지 않고 화장 후 유골을 안치.
◈성호사설(星湖僿說) 제17권 인사문(人事門) 정조(正朝) 추석(秋夕) - 이익(李瀷)
[우리나라 속절(俗節)에 성묘를 8월 15일로 하여 추석이라 칭하는데, 이는 정조(正朝)와 더불어 서로 비교가 된다.
조(朝)는 낮이고, 석(夕)은 밤으로서, 하원(下元)에 달이 가장 밝으므로, 민속에서 놀이를 하는 데 반드시 밤을 이용한 것이다.]
- 정조(正朝)는 조(朝)로 아침(낮)이고 추석(秋夕)은 석(夕)으로 저녁(밤)을 나타내어 설은 낮 동안 하루를 즐겁게 보내고 추석은 밝은 달로 인하여 밤에 놀이를 한다.
*정조(正朝) - 설날 - 元朝(원조). 元旦(원단). 元日(원일). 正日(정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