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승 세보’의 글에서 잘못된 표기 - 1
■ ‘가승 세보’의 글에서 잘못된 표기 - 1
운영하는 카페에 ‘경주이씨 익재공파 모 일가 가승 세보’의 글이 올라 있습니다.
종친님께서 윗대부터 집안에서 소지하여 내려온 족보에 기재된 내용을 보고 그대로 올린 글로 보입니다.
그런데 한자를 잘못 읽은 곳이 많고 내용도 너무나 많이 틀려 이를 ▲[.........]로 지적하여 수정하고 소견을 올려 드리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경주이씨 원시조 1세 이알평.......36쎄 이거명까지]
⇒ ‘경주이씨 시조 이알평..........36세 이거명까지...’
소견)
시조님이면 시조님이지 시조를 ‘원시조’라고 말하지 않습니다.
경주이씨 시조는 알평 할아버지입니다.
보통 ‘원시조’나 ‘도시조’는 지금까지 밝혀진 시조에서 그 윗대가 다시 밝혀지면 시조를 다시 바꿀 수가 없으니까 시조 위에 새로 밝혀진 윗대 조상에게 ‘도(都)’자를 붙여 ‘도시조(都始祖)’라 하고 그 윗대가 다시 중국에서 왔다고 밝혀지면 그 조상님을 ‘원시조’라고 말하는 성씨를 인터넷 검색에서 보았습니다.
해서 경주이씨의 시조는 시조 윗대에서 밝혀진 새로운 조상이 없기 때문에 '알평'할아버지를 그냥 '시조'라고 합니다.
도시조의 예)
◈노(盧)씨의 도시조(都始祖)
노(盧)씨의 본관은 광주(光州)· 교하(交河)· 풍천(豐川)· 장연(長淵)· 안동(安東)· 안강(安康)· 연일(延日)· 평양(平壤)· 곡산(谷山) 등의 9관 노씨(九貫盧氏)인데 도시조(都始祖)는 원래 당(唐)나라의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지낸 노수(盧穗)라고 전하는데, 그는 당나라 말년에 아들 9형제를 거느리고 한국에 왔으며, 9형제가 모두 신라에 등과하여 고려 초년에 봉읍(封邑)됨으로써 9관 노씨의 시조가 되었다.
◈배(裵)씨의 도시조(都始祖)
지타(祗陀 또는 只他)는 신라 6촌 중 금산(金山)의 가리촌(加利村)의 촌장으로 신라의 개국 공신으로 유리왕 9년 배씨(裵氏) 성을 하사받아 배씨(裵氏)의 도시조(都始祖)라고 한다.
◈ 감천, 안동 전씨(甘泉,安東全氏)의 도시조(都始祖)
시조 전언(全彦)은 백제를 건국한 온조왕의 10대 공신 중의 하나인 도시조 전섭의 30세손으로 전언은 고려 충숙왕 때 밀직부사 판전농사사(判典農寺事)를 역임했다.
◈ 유(劉)씨의 도시조(都始祖)
유씨는 중국에서 시작된 성씨로 시조는 중국에서 항우와 쟁패를 다투고 한나라를 세운 고조 유방(劉邦)이다.
우리나라 유씨가 시작된 것은 고려시대 문종 때 임팔급(평택임씨 시조)등과 함께 송나라에서 건너온 팔학사(八學士)의 한 사람인 유전(劉筌)부터이니 한나라 고조 유방(劉邦)의 41세손이다.
유전(劉筌)이 우리나라에 거주하고 있는 모든 유(劉)씨의 도시조가 되는 셈이다.
'도시조(都始祖)'에 대한 뜻풀이는 검색을 하여도 없으나 다른 성씨에서 시조위의 윗대 조상이 다시 밝혀지면 ‘도시조’ 다시 그 윗대의 조상이 밝혀지면 ‘원시조’로 호칭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우리 경주이씨는 그냥 표암공(아찬공) 알평 할아버님을 시조님으로 모시고 소판공 이거명 할아버님을 중시조님으로 받들지 시조 할아버지를 ‘원시조’니 하고 부르지 않습니다.
▲[(9) 수. (14) 계환 (17) 기담 (19) 확]
⇒ (9) 수 ⇒ 유(綏). (14) 계환 ⇒ 계훤(啓烜). (17) 기담 ⇒ 기첨(基瞻). (19) 확 ⇒ 황(木+廣)
소견)
참고 자료로 올린 사실적이지 못한 ‘35대로 된 실전세계’에 있는 시조 이후 중시조까지의 세계(世系) 중 위의 인물명은 잘못 읽었습니다.
참고자료일 뿐이고 바르지 못한 계대로 필요 없지만 원문과 달리 읽어 잘못 읽고 기록하였기에 수정하였습니다.
경주이씨에 관한 뿌리의 내용은 1987년도에 간행한 정묘보인 ‘경주이씨 대종보’를 근간 자료로 합니다.
◈'35대 상계 세계 표'에서 ▲[(34)희두 - (35) 계 - (36세) 거명 ➞ 경주이씨의 중시조
....(34)진두 - (35)백전 - (36세) 공 ➞ 완산이씨의 중시조(옛지명으로는 전주임)
------------------- (36세) 한(翰) ➞ (진주이씨의 중시조)]
⇒ (33)기 - (34)희두 - (35) 계 - (36세) 거명(居明) ➞ 경주이씨의 중시조
................(34)진두 - (35)백전- (36세) 공(恭)
..............................................(36세) 한(翰) ➞ 전주이씨의 시조
소견)
위 계대 표는 종친님께서 소지한 족보에 있는 내용인 것으로 짐작이 됩니다.
위 세계 표는 붉은 글자로 고친 것과 같이 수정하여야 합니다.
(36세) 공(恭)은 (완산이씨의 중시조) (옛 지명으로는 전주임)가 아닙니다.
(36세) 한(翰)도 (진주이씨의 중시조)가 아닙니다.
(36세) 공(恭)이 완산이씨의 중시조이면 동생인 (36세) 한(翰)은 어떻게 불러야 할까요?
(36세) 한(翰)은 ‘전주이씨 시조’입니다.
▲[원시조인 알평]
⇒ 시조인 알평
소견)
또 ‘원시조’라고 표기하였습니다.
경주이씨 시조님은 표암공(혹은 아찬공) 알평입니다.
이 시조님을 원시조나 도시조라고 하지 않습니다.
표암공(혹은 아찬공) 알평 할아버님을 시조님으로 모시고 소판공 이거명 할아버님을 중시조님으로 받들어 모시기 때문에 ‘시조’로만 호칭하는 것입니다.
▲[원시조에서 거명까지의 세계 표는 실전 계대로써 200여 년 전 합천이씨 계보에서 찾아낸 것으로 통상 경주이씨 하면] ⇒ 삭제
소견)
시조 다음 대부터 중시조 앞대까지 1904년 이후 처음 언급되고 1932년에 ‘35대로 된 실전세계’가 분적종 합천이씨 임신대보에 처음으로 게재하였는데 이 계대가 온통 사실적이지 못한 계대이기 때문에 이를 인용한 위의 글은 삭제하여야 합니다.
1987년도 간행 경주이씨 대종보(정묘보) 총편에 제목 : ‘실전세계의 고찰’ 논문이 실려 있으니 이를 일독하시면 이 계대가 잘못된 계대임을 알게 될 것입니다.
▲[표의 중시조(원시조)....시조세수 36세. 37세.....40세. 41세....45세 등] ⇒ 삭제
소견)
‘중시조(원시조)’와 ‘시조세수’로 나타낸 것은 모두 삭제해야 합니다.
‘35대 상계’ 계대는 꾸며 만든 계대임으로 우리 경주이씨 후손들은 누구도 ‘시조세수’는 헤아려 말하지 않습니다.
몇몇 보학을 아는 종친님이 잘 알지도 못하면서 ‘시조세수’를 넣어 말하면 세수가 많아지니 이를 자랑으로 여기는지 중시조 40세 ‘희. 형’ 항렬을 ‘시조 75세’로 읽거나 말합니다.
아닌 것은 아니라고 여겨 읽지 않아야 합니다.
1세가 틀리면 아버지를 할아버지로 할아버지를 아버지로 읽게 되는데 왜 거짓으로 읽어야 할까요.
‘35대 실전세계’는 사실적이지 못한 계대로 참고용인 만큼 이를 올리지 않아도 됩니다.
이 사실적이지 못한 35대 상계 계대를 활용하여 '시조세수'로 읽거나 말하면 내용을 아는 분들은 도리어 웃을 것입니다.
- 차회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