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이씨 분적. 분파 계통도의 수정 내용
● 경주이씨 분적. 분파 계통도의 수정 내용
인터넷에 올라 있는 경주이씨 분적. 분파 계통도가 하나같이 정확도가 떨어진 잘못 작성된 그림입니다.
계통도에서 잘못된 내용은 아래와 같이 수정하여야 합니다.
‘중시조세수’와 ‘시조세수’를 같이 나타내면서 ‘시조세수’ 옆에 ‘중시조세수’를 (........ )안에 넣어 표기한 경주이씨 계통도가 여러 곳의 경주이씨 관련 카페에 올라 있습니다.
계통도마다 ‘시조세수’는 55. 75 숫자로 표시하고 중시조세수는 55(20). 75(40)로 하여 경주이씨 시조부터 현재까지의 조손간 계통도가 여러 종친회 카페. 블로그에 올라 있습니다.
한 사람이 공들여 만들어 올린 것을 여러 사람이 잘잘못을 따지지 않고 잘못된 그대로 복사하여 올린 것입니다.
사실적이지 못한 ‘35대로 된 실전세계’의 35대 상계 계대를 중시조세수와 합하여 ‘시조세수’로 읽고 휘(諱- 이름)도 올려놓고 있습니다.
1세(=대)가 틀리면 고조부를 증조부로, 증조부를 고조부로 잘못 읽고 말하나든 사실은 생각하지 않고 그저 ‘시조세수’를 늘려 역사를 길게 하면 그 집안을 더 올려봐 준다는 생각인지 아니면 누가 더 받들어 모시는 양 잘못된 엉터리 계대를 읽고 세수를 헤아려 읽어 시조세수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시조(휘 알평) 다음 아랫대인 시조 2세 유(侑) ~ 시조 35세 계(誡)까지의 ‘35대로 된 실전세계’는 조사 분석결과 사실적이지 못한 계대임이 밝혀졌습니다.
대종보 총편에 게재된 제목 ‘실전세계의 고찰’ 논문에 밝혀져 있습니다.
1932년에 간행된 분적종 합천이씨 임신대보에 처음 발굴되어 게재하였다는 ‘35대로 된 실전세계’로 인하여 한때 시조 상계 35세(=35대)를 중시조세수에 합하여 ‘시조세수’로 읽는 것이 홍보되어 ‘시조세수’로 읽은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그 뒤 ‘35대로 된 실전세계’가 사실적이지 못한 계대로 밝혀진 뒤로는 ‘시조세수’로는 읽지 않습니다.
시조 2세부터 35세까지의 계대와 ‘시조세수’로 읽은 것은 모두 삭제함이 바릅니다.
▲ ( )속의 중시조세수는 그대로 두고 앞쪽의 시조세수는 모두 삭제하여야 합니다.
이유는 1932년도 간행 분적종 합천이씨 임신대보에 처음 발굴되어 게재되었다는 ‘35대로 된 실전세계’는 사실적이지 못한 계대로 밝혀졌기 때문에 이를 활용하여 시조세수로 읽지 않기 때문입니다.
예) [36. 37(2). 38(3). 39(4).....56(21)] ⇒ 36. 37. 38. 39. 56의 시조세수 삭제.
- 위 36세 ~ 56세 등 ‘시조세수’로 나타낸 세수는 잘못된 ‘시조 35세 상계’를 적용하여 시조세수를 읽었기 때문에 이는 모두 삭제하고 중시조세수(1 ~ 21세)로만 나타내어야 합니다.
▲[소판공 거명 (蘇判公居明) # 여기서부터 遠代孫 中始祖라 하고 1世, 2世..라고도 함.]
⇒ 1세 거명(居明) # 소판공(蘇判公). 시조(始祖)의 원대손(遠代孫).
중시조(中始祖) 1세로 기세(起世)함.
▲ [*평창이씨(平昌李氏) - 분관조 윤장潤張)] ⇒ 평창이씨(平昌李氏) - 삭제
- 2008년 3월 이전까지 경주이씨 8본의 분적종 중 한 분적종으로 오랫동안 활동하던 평창이씨는 경주이씨 분적종이 아님이 확인되어 분적종에서 제외되었습니다.
▲ [*가평이씨(加平李氏)- 분관조 윤원(潤遠)] ⇒ 가평이씨(加平李氏) - 삭제
- 가평이씨(加平李氏)는 본디부터 경주이씨 분적종이 아닙니다.
대종보의 기록에 분적종으로 기록되어 있지 않습니다.
아마 1978년에 간행된 무오보에 가평이씨(加平李氏 분관조 윤원潤遠)가 분적종에 올라 있으나 이런한 여러 내용들이 잘못 편집되어 60여년마다 간행하는 대종보를 9년 만에 다시 간행한 1987년도에 간행한 정묘보이며 중앙표준보인 경주이씨 대종보에는 가평이씨(加平李氏)는 분적종으로 올라 있지를 않습니다.
경주이씨 분적종에서 가평이씨는 삭제되어야 합니다.
▲[41(6) 주복(周福)─*제정(齊廷)──주좌(周佐) 아산이씨이적(牙山李氏移籍)]
⇒ (6) 주복(周福)─주좌(周佐) 아산이씨이적(牙山李氏移籍). 제정(齊廷) - 삭제
- 아산이씨(牙山李氏) 분적조인 주좌(周佐)는 *제정(齊廷)의 동생이 아니고 중시조 6세 주복(周福)의 동생입니다.
제정(齊廷)은 주복. 주좌의 아우가 아닌만큼 삭제하여야 합니다.
▲[44(9) * 총성(寵暹)] ⇒ 9세 총섬(寵暹)
▲[45(10) 춘정(春貞)--춘림(春林) *시랑공파(侍郞公派)] ⇒ 10세 춘정(春貞) - 춘림(春林)
시랑공파(侍郞公派) - 삭제.
- 1987년도에 간행된 경주이씨 대종보는 정묘보이며 중앙표준보입니다.
경주이씨에 대한 뿌리는 경주이씨 대종보를 근간으로 합니다.
이 대종보의 기록에 시랑공파(侍郞公派) - 10세 춘림春林)을 대파조로 하는 파명은 보이지 않습니다.
대파로 분파하지 않았다는 뜻입니다.
시랑공(휘 춘림)의 9세손인 중조 19세 직장공(휘 양오)의 4형제가 각기 분파하여 직장공파. 석탄공파. 진사공파. 교감공파 등 4대파로 분파되었기 때문에 이들의 9대조에서 ‘시랑공파’로 분파되었다고 하는 것은 대파에서 또 대파로 분파된 것으로 이는 잘못된 것입니다.
▲[48(13) 승고(升高)─── 양식(陽植) 우계이씨이적] ⇒ (13) 승고(升高)
- 중시조위에 ‘(시조후손) 양식(陽植) 우계이씨 이적(羽溪李氏移籍)’으로 나타내어야 합니다.
위 내용 중 ‘양식(陽植) 우계이씨 이적(羽溪李氏移籍)’을 48(13) 승고(升高)와 친형제로 표기하였는데 친형제가 아니기 때문에 친형제 간으로 표기하면 안 됩니다.
승고(升高) ─ 양식(陽植)은 친형제간이 아니고 중시조 윗대인 시조 후손에서 분관된 분관성씨이기 때문입니다.
‘중시조 이후 세계’ 앞에 ‘시조후손’으로 하여 합천이씨. 차성이씨 우계이씨 등 3본을 먼저 올려야 합니다.
중시조 13세 승고(升高)와 우계이씨 분관조 양식(陽植)이 중시조 13세인 것은 맞으나 이를 승고(升高)와 같이 친형제 간으로 표기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우계이씨(羽溪李氏) 분관조(分貫祖) 양식(陽植)은 ‘시조후손’에서 분적된 계대이고 승고(升高)는 중시조 직계손으로 계대가 이어져 승고와 양식을 위와 같이 표기할 수 없습니다.
중시조 세계 앞에 ‘시조후손’에서 분적된 것으로 나타내어야 합니다.
예)
시조후손- 차성이씨(車城李氏) - 분관조 위渭).
시조후손- 합천이씨(陜川李氏) - 분관조 개開)
시조후손- 우계이씨(羽溪李氏)- 분관조 양식(陽植)으로
*‘시조후손’에서 분적한 분적종은 아래의 3본이고 그 외 5본은 ‘중시조후손’에서 분적 하였습니다.
▲[16세 평리공파(評理公派- 인정仁挺)] ⇒ 16세 평리성암공파(評理誠菴公派) - 파시조 인정仁挺)]
- 처음에 분파명이 평리공파(評理公派)였으나 근래에 일부 성암공파(誠菴公派)로 파명이 바뀌었다가 최근에 두 살림을 하던 평리공파(評理公派)와 성암공파(誠菴公派)가 통합하여 '평리성암공파(評理誠菴公派)'로 파명을 개칭하였습니다.
▲[52(17) 사인공파(舍人公派) 수(蓚)... ] ⇒ 17세 사인공파(舍人公派) 조(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