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경주이씨 23살. 39대손입니다.

녹전 이이록 2021. 1. 4. 09:14

경주이씨 23. 39대손입니다.

 

“ 23살에 39대손” - * 저는 제목 그대로 23살에 39대손입니다

저는 모르겠는데 남들이 보면 촌수가 높다고 하더군요.

 

* 시골가면 나이 많은 형. 누나들이 저한테 아재, 아재합니다.

어렸을 땐 그냥 그러려니 했는데 나이 먹고 그 형. 누나들이 30살 먹고도 저한테 아재. 아재하니 여간 불편한 게 아닙니다.

저는 청주 사는데 제 친구나 아는 사람들 물어보면 거의 전주이씨. 연한이씨 이래요.

경주이씨가 별로 없어요.

 

혹시 경주이씨 익재공파 분들 계시나요?

 

- *경주이씨 항렬표 : (경주이씨 내에서도 파, 지역, 소 문중에 따라 다를 수 있음)

35(). 36- (). 37- (). 38- (). 39- (). 40- , (熙炯).

41- (). 42- , (鎬鍵). 43- , (濟濬). 44- (). 45- . (,).

46- , (敎世).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이거(이것은)는 경주이씨 자손표고여, 저희 아버지는 우자 돌림, 할아버지는 종자 돌림. 제가 상자 돌림입니다.

경주이씨 분들 리플 달고 대화 좀 해봐요.

 

위와 같이 글을 올리니 아래와 같은 댓글을 몇 분이 올려 주셨습니다.

 

잘못 올린 댓글을 글 아래에 바르게 수정하여 올리고 문의자의 문의는 뒤쪽에 소견)을 올립니다.

 

댓글)

 

A

경주이씨 많음.

우리 할아버지가 자 쓰시고 아부지(아버지)자 쓰시고 난 자 돌림인데 ㅋㅋ

친구 중에 경주이씨 자 돌림도 있고 자 돌림도 있음..

한 놈은 내 윗대고 한 놈은 내 아랫대..ㅋㅋ

 

소견)

 

아래는 경주이씨 '중시조세수'에 따른 항렬자입니다.

 

항렬 항렬 .항렬 항렬

38--------39-------40----------41

할아버지----아버지----(A)----------아들

 

B

 

난 경주이씨.. 국당공파요~ 울 아부지랑 할아버님.. 오빠는 몇 대손 어쩌구 하는 뎅..

난 관심이..ㅋㅋ 그냥 경주이씨 국당공파란 것만 알고 있쏘~

근데 이거 왜 하오..? ㅋㅋ

 

소견)

 

경주이씨 국당공파. 시조. 중시조. 파시조. 훌륭한 조상님들의 세수와 항렬을 알고 있으면 이 분들과 형제간이냐? 숙질간이냐 조손관계이냐? 를 알아 대면할 때 예를 다 할 수 있기 때문에 실례되는 예를 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C

방가...아버지 자 쓰시고 나 자 쓰고 울 아들 자라네.

암튼 반갑네..........리플들은 다 무시하시게

 

소견)

 

'항렬 항렬 항렬

아버지----- ----------아들

37.............38...............39

 

*다른 분들이 올린 댓글은 다 무시하라고요. 이유가?

 

D

우리 아버지께서 족보 작성하시는데..시조 분이 이알평 맞죠?

 

E

경주 이씨이면 경주 사는 건가?

 

소견)

경주에만 살고 있는 것이 아니고 다른 성씨도 그렇지만 우리나라 방방곡곡에 흩어져 삽니다.

경주는 경주이씨 시조님의 탄생지로 본관으로 합니다.

 

F

경주이씨 나는 익재공파 38대손. 우리아빠 "" 자 돌림. 국우, 재우, 등등 우리 집에 족보도 있는뎀 ㅋㅋㅋ

아빠가 자 항렬이면 중시조 38세이고 중시조님의 37세손(=37대손)’입니다.

그러면 종친님은 중시조 39항렬이지요.

 

소견)

익재공파 38대손이 아닙니다.

종친님은 중시조 39(=39). 익재공파 39(=39) ‘항렬로 이는 중시조님의 38세손(=대손)’. ‘익재공의 22세손(=22대손)’입니다.

 

G

저는 경주이씨 익재파 42대손이예요.

아버지가 "" , 오빠가 "", 조카가 "" ^^

 

소견)

항렬 항렬 항렬

41--------42--------43

아버지------오빠(나)----아들(조카)

 

종친님은 중시조 42(=42)’이고 익재공파 42(=42)’이고 중시조의 41세손(=41대손)’이고 익재공의 25대손(=25세손)’입니다.

 

* 중시조나 파명 뒤에는 몇 대손(=세손)’이 아닌 중시조세수로 말합니다.

파명 즉 단체(모임. 조직) 뒤에는 중시조세수로 말하고 몇 대손(=세손)’은 조상 누구의 몇 대손(=세손)으로 말해야 바르게 말하는 것입니다.

후손 누구의 몇 세조(=대조)’이라고 말하는 것도 바릅니다.

 

[* 저는 제목 그대로 23살에 39대손입니다. 시골에 가면 나이 많은 형. 누나들이 저한테 아재, 아재합니다. 나이 먹고 그 형. 누나들이 30살 먹고도 저한테 아재. 아재하니 여간 불편한 게 아닙니다.]

 

소견)

‘39대손이라는 말은 중시조 40(=40).항렬이 중시조님의 몇 세손(=대손)이냐?” 라고 물을 때 중시조님의 39세손(=39대손)이다.’라고 말할 때 사용되는 말입니다.

 

중시조 40(=40)인데 시골에 가면 나이 많은 분(. 누나뻘)들이 저한테 아재, 아재합니다. 라고 하니 매우 불편하다는 것인데 나이 많은 분(, 누나뻘)들이 자신을 아재. 아재하는 것은 나이 많은 분들의 아버지가 종친님과 항렬이 같기 때문에 종친님을 아재(아저씨. 아버지뻘)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자신은 아재라는 말이 불편하고 거북스러우나 항렬로 따져 호칭으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경주이씨 항렬표 : (경주이씨 내에서도 파, 지역, 소 문중에 따라 다를 수 있음)]

 

소견)

경주이씨의 14개 대파와 8개 분적종 종인들은 미리 제정하여 둔 경주이씨 항렬제차(중시조 35~ 70)’에 따라 중시조세수에 따른 항렬을 적용하여 이름을 작명하여야 합니다.

이름의 항렬을 알아보고 종인끼리 차서(次序)를 알아 예를 바르게 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