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조천록 下와 백사집 차례

녹전 이이록 2010. 9. 22. 10:14

● 조천록(朝天錄) 하(下)

 

○ 朝天記聞(조천기문) (2)

 

598년 10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명나라의 각지를 돌면서 특정한 사실을 산문체계로 엮은 글이다.

 

먼저 봉산(鳳山)에 도착했을 때 강덕휘(姜德輝)라는 인물이 찾아와 그와 임진왜란 이후에 조선의 유민들이

중국으로 찾아든 경우가 많았다는 등의 이야기를 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산해관 외곽의 한 여관에서 머물고 있을 때는 조선인 30여명이 찾아와 탈출하고 싶다는 의사를 표현했다고 전하고 있다.

 

또 연경에서는 조선의 사신들을 상대하던 한 책장수를 만나서는 글을 모른다고 거짓말을 했다는 사실도 전하고 있다.

 

그리고 끝으로는 나중에 중국에 사신으로 갈 사람들을 위한 몇 가지 경계를 기록하고 있다. 

 

○ 朝天日乘(조천일승) (9)

 

매일 매일을 일기 형식으로 운문과 산문을 병행하여 쓴 글이다.

 

운문은 주로 중국의 경치나 인물들을 보고 느낀 감회‚ 객수(客愁) 등을 내용으로 하고 있고‚ 산문은 만난 사람들과 겪었던 일들을 자세히 소개하고 있다.

 

기록한 기간은 출발한 날짜인 1598년 10월 21일부터 시작해서 도착일인 이듬해 4월 24일까지가 해당된다.

 

첫째 날 기록에는 부사 이정구(李廷龜)와 서정관 황여일(黃汝一)과 함께 바다 길을 따라 용천(龍川)에 이르렀는데‚ 중간에 날씨가 추워 지체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11월 22일조에는 천비(天妃)의 묘를 지날 때 이정구가 마차에서 떨어져 황여일과 둘이서 먼저 묘를 참배했는데‚ 묘를 지키는 승려가 6명이었다고 적고 있다.

 

그리고 정월 27일에는 입조(入朝)하던 상황과 주위의 모습에 대해 소상히 기록하고 있다.

 

또 마침내 돌아오던 날의 기록에는 강을 건너는데 접반관과 지인들이 반갑게 맞이해 주었으며 우리들은 서로 마주보고 기뻐했다고 적고 있다.  

 

○ 조천록(朝天錄) 하(下)

 

해월의 운에 차하다.

 

3월 11일(경인)에는 연향(宴享)과 은(銀)을 받았다.

 

3월 12일(신묘)에는 사은(謝恩)하였다.

 

3월 13일(임진)에는 상(賞)을 받았다.

 

3월 14일(계사)에는 사은하였다.

 

3월 17일(병신)

 

3월 18일(정유)

 

19일(무술)에는 통주에서 머물렀다.

 

20일(기해)에는 삼하(三河)에서 묵었다.

 

21일(경자)에는 계주(薊州)에서 묵었다.

 

22일(신축)에는 옥전(玉田)에서 묵었다.

 

23일(임인)에는 풍윤(豊潤)의 곽가(郭家)에서 묵었는데, 여기서 사은사(謝恩使)를 만났다.

 

24일(계묘)에는 진자점(榛子店)을 지나 사하역(沙河驛)의 칠가령(七家嶺)에서 묵었다.

 

25일(갑진)에는 영평부(永平府)에서 묵었다.

 

3월 25일 도중(途中)에 풍사(風沙)가 매우 어지러이 날렸다.

 

3월 26일(을사)

3월 27일(병오)

 

4월 4일(계축)에는 산해관을 지나서 날이 저물자 산해관 밖의 점가(店家)에서 묵었다.

 

4월 5일(갑인)에는 고령(高嶺)을 지나 전둔위(前屯衛)에서 묵었다.

 

4월 6일(을묘)에는 사하역(沙河驛)을 지나 동관(潼關)에서 묵었다.

 

4월 7일(병진)에는 조장(曹莊)에서 묵었다.

 

4월 8일(정사)에는 연산(連山)에서 묵었다.

 

4월 9일(무오)에는 행산(杏山)에서 묵었다.

 

4월 10일(기미)에는 소릉하(小凌河)를 지나 대릉하(大凌河)에서 묵었다.

 

4월 11일(경신)에는 십삼산(十三山)을 지나 여양(閭陽)에서 묵었다.

 

4월 12일(신유)에는 광녕(廣寧)에서 묵고 하루를 더 머물렀다.

 

4월 14일(계해)에는 반산(盤山)에서 묵었다.

 

4월 15일(갑자)

4월 16일(을축)

4월 17일(병인)

4월 18일(정묘)

4월 19일(무진)

4월 21일(경오)

4월 22일(신미)

 

4월 23일(임신)에는 이도하(二渡河)에서 묵었다.

 

4월 23일 고령(高嶺)의 고개 위에 두견화(杜鵑花)가 만발하다.

 

4월 24일(계유)

 

4월 24일 청강(淸江)의 시운을 사용하여

황 서장관(黃書狀官)의 해월헌(海月軒)에 부쳐 제(題)하다.

 

들은 것을 기록하다.

 


 ◆ 백사집(白沙集) 차례


○ 백사선생집 서

 

○ 백사집 제1권

  시(詩)

 

○ 백사집 제2권

  잠(箴)

  명(銘)

  서(敍)

  기(記)

  발(跋)

  제후(題後)

  서(書)

  잡저(雜著)

  묘지(墓誌)

 

 ○ 백사집 제3권

  묘지(墓誌)

  묘표(墓表)

  묘갈(墓碣)

  비(碑)

 

 ○ 백사집 제4권

  비명(碑銘)

  유사(遺事)

  행장(行狀)

 

 ○ 백사집 제5권

  차자(箚子)

 

 ○ 백사집 제6권

  차자(箚子)

 

 ○ 백사별집 제1권

  계사(啓辭)

 

 ○ 백사별집 제2권

  계사(啓辭)

 

 ○ 백사별집 제3권

  의(議)

 

 ○ 백사별집 제4권

   잡기(雜記)

 

 ○ 백사별집 제5권

   조천록(朝天錄) 상(上)

   조천록(朝天錄) 하(下)

 

 ○ 백사별집 제6권

   간독(簡牘)

 

 ○ 백사집 부록

   행장(行狀)

   신도비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