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무슨 파. 몇 대손인지?

녹전 이이록 2020. 3. 24. 09:25

무슨 파. 몇 대손인지?


제가 세 살 때 아버지가 돌아 가셨답니다.


아버지는 홀연 단신 고향을 떠나 사셨습니다.


아는 것이라고는 경주이씨 뿐 몇 대손. 무슨 파인지를 모릅니다.


속으로 감추고 있던 궁금함을 여쭙니다.


아버지 - 이상. 오빠 - .


아이들이 여쭈어 볼 때도 답을 못하고 그간 속울음 몇 번이나 울었답니다.


댓글)


여러 종친님들께서 답글을 올려 주었습니다.


바르지 못한 답글은 이를 지적하고 바로 아래에 소견)을 올립니다.


S


’40대손입니다.


소견) 이이록


아버지 존함 이상‘. 오빠 성함 에서 자와 자를 항렬자로 하여 아버지 자는 중시조 39세이고 오빠 는 중시조 40(=40)인데 이를 ’40대손으로 읽었습니다.


이는 =로 같은 뜻으로 읽고 =대손으로 같은 뜻으로 이의론으로 읽은 것입니다.


아버지 중시조 39세는 39대로 같은 뜻(39=39)으로 읽고 중시조 39항렬은 중시조님의 38세손(=38대손)‘으로 말하고 종친님은 중시조 40(=40)중시조님의 39세손(=39대손)‘으로 읽거나 말하여야 바릅니다.


C


아버님이 상자 돌림이면. 저희 집안과 고향도 같고요.


경주이씨 *‘익제공파와 같습니다.


몇 대 손인지는 모르겠어요.


저도 아버님 세대 돌림은 자 돌림을 쓰며 사촌들과 저의 세대에서는 자 돌림을 쓰고 있어요.


조카와 아래세대는 가운데 자 돌림을 씁니다.


경주이씨 *익제공파까지만 알고 몇 대 손은 알 길이 없네요.


소견) 이이록


익제공파익재공파로 읽고 씁니다.


益齋익제가 아니고 익재입니다.


아버지 대가 항렬. 자신의 대가 항렬이니 항렬이 같으니 같은 집안으로 본 것입니다.


다른 집안도 마찬가지이지만 경주이씨는 대동항렬로 모든 종인들이 같은 중시조세수와 같은 항렬을 사용하기 때문에 중시조세수와 항렬이 같으면 같은 세대로 형제뻘 입니다.


L


보아하니 40대손인 것 같네요.


아빠가 ''자 돌림이고 오빠는 ''자 돌림. 그리고 조카는 ''자 돌림이니깐..


아빠가 39대 손이시라니 오빠는 40대 손이겠지요..


소견) 이이록


앞서 표기한 ‘40대손은 잘못된 표기이나 오빠 ‘40^ 은 바른 표기입니다.


대손^ 은 뜻이 다릅니다.


대와 손을 대손으로 붙여 읽는 것과 ^ 을 띄어 읽는 것은 뜻이 다릅니다.


‘40대손‘40대 손은 다른 뜻입니다.


‘40대손‘40세손과 같은 뜻으로 중시조 41세인 항렬은 중시조님의 40세손(=40대손)’이고 ‘40대 손‘40대 손과 같은 뜻으로 ‘40세 후손(=40대 후손)’이라는 뜻으로 중시조로부터 40번째로 태어난 후손이라는 뜻입니다.


오빠 항렬은 중시조 40이니 이는 중시조 40세 손’. ‘중시조 40대 손으로 대와 손을 띄어 읽거나 나타낼 수 있고 몇 대손(=세손)으로는 중시조님의 39세손(=39대손)’으로 붙여 말합니다.


B


제 기억이 정확하다면..‘익제공파 34대손이십니다.


제가 경주이씨 34대손으로 알고 있거든요,


어렸을 때 아빠가 말해 주셨거든요..


아빠 형제들은 상자 돌림, 아래는 희자 돌림을 쓰고 있어요..


소견) 이이록


종친님은 잘못 알고 있습니다.


익제공파익재공파로 바르게 읽어야 하고 익재공파 34대손도 잘못 읽었습니다.


항렬은 중시조 39세이고 항렬은 중시조 40세입니다.


그러면 중조 39세인 항렬은 중시조님의 38세손(=38대손)’이고 중조 40세인 항렬은 중시조님의 39세손(=39대손)’이라고 해야 바르게 말하는 것입니다.


중시조와 파명 뒤에는 중시조세수로 말하니 중시조 40’. ‘익재공파 40로 말합니다.


몇 세손몇 대손은 같은 말로 후손 누구는 조상 누구의 몇 세손(=대손)이냐?”로 묻고 답할 때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중시조 40.항렬은 중시조의 몇 세손(=대손)인가? - 중시조님의 39세손(=39대손)

중시조 40.항렬은 익재공의 몇 세손(=대손)인가? - 익재공의 23세손(-23대손)


BS


이름으로 보면 *경주이씨 익제공파 39세손(상 자), 40세손(희 자) 같은데 족보에 돌림자로 올리기 때문에 실제로 상 복자와 수 희자가 같은 이름으로 안올려 있을 겁니다.


제적등본을 보면 출생지가 어딘지 궁금하네요.


족보상에 보면 언신(36) 할아버지 자손에 나오는 오빠 수희(일명은 수남)씨는 부친이 상태(일명은 랑여), 부친 상복(일명은 경묵)씨는 부친이 중우(일명은 오겸)씨로 되어 있네요.


부친 출생지, 조부, 증조부 이름만 알면 경주이씨 대동보(익제공파 편)를 보면 쉽게 찾을 수 있겠네요.


소견) 이이록


[*경주이씨 익제공파 39세손(상 자), 40세손(희 자)]


아래 내용은 잘못 된 글로 수정을 바랍니다.


익제공파 익재공파.


39세손(상 자) 39^ (‘자 항렬) - ‘띄어쓰기

40세손(희 자) 40^ (‘자 항렬) - ‘띄어쓰기


위 답글은 BS 종친님께서 해당 족보를 보고 올린 글로 신빙성이 있는 글입니다.


[족보상에 보면 언신(36) 할아버지 자손에 나오는 오빠 수희(일명은 수남)씨는 부친이 상태(일명은 랑여), 부친 상복(일명은 경묵)씨는 부친이 중우(일명은 오겸)씨로 되어 있네요.]


BS 종친님과 연락하여 족보를 보고 자세히 확인하여 계대를 찾으시기를 바랍니다.


이이록


[아버지 이상. 오빠 ]


위의 내용만으로는 항렬과 중시조세수는 알 수 있으나 명은 전연 알 수 없습니다.


항렬과 중시조세수로 중시조님의 몇 대손’ . ‘익재공의 몇 대손은 말할 수 있습니다.


우리 '경주이씨 항렬제차'표에 보면 중시조 39세는 [O] - 중시조 40세는 [O]로 항렬을 말하고 있습니다.


이로 보면 아버지 휘 상중시조 39. 오빠는 이니 중시조 40세로 항렬 제차에 맞는 항렬입니다.


그러면 중조 40세인 '' 항렬은 중시조님의 몇 세손(=대손)’으로는 중시조님의 39세손(=39대손)’으로 읽고 말하는 것입니다


중시조 ‘40‘40세손으로 같은 뜻으로 읽는 읽는 경향이 많은데 이는 잘못 된 것입니다.


=세손은 같은 뜻이 아닙니다.


중시조 40세는 ‘40세손이 아니고 중시조 40’ . ‘중시조 40^ ’ . ‘중시조 40세 후손으로 나타내는 것은 바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