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몇 대손?

녹전 이이록 2019. 11. 18. 09:07

몇 대손?



경주이씨 종친님이 올린 문의에 필자가 올린 답변입니다.


저가 익제공파이고 자 돌림인데(부친은 자 돌림) 몇 대손인가요?


어제 우연히 옆자리 분과 술자리에서 대화를 하다 서로 얘기가 나왔는데 그분은 자 돌림이라면서 42대라고 하고 전 제가 ’38로 알고 있었는데 어제 그분이 아니라고 해서 제가 잘못알고 있었나 싶어 이렇게 질문합니다...


답변) 이이록


문의자 종친님은 A님 이라고 하고 술자리의 종친님은 B님 이라고 하겠습니다.


같은 술자리의 경주이씨 B종친님은 자 돌림이라면서 42대라고 하고 문의한 A종친님은 제가 38로 알고 있었다.’고 하면서 항렬이라고 하였습니다.


술자리의 B종친님은 자신이 항렬로 중시조 42(=42)라고 하였으니 바르게 자신을 소개한 것입니다.


그리고 문의한 A종친님은 부친이 항렬이니 중시조 38(=38)이고 종친님은 항렬로 중시조 39(=39)입니다.


- ‘세와 대. 세손과 대손. 세조와 대조를 헤아려 읽고 말하는 데에는 동의논지로 헤아려 읽고 말하여야 정론입니다.


세와 대는 같은 뜻으로 읽는 ‘1=1동의론과 세와 대는 다른 뜻인 ‘2=1로 읽는 이의론의 두 논리가 있습니다.


동의론논리


조손간에 =’. 아랫대로 세손=대손’. 윗대로 세조=대조로 등호(=) 좌우의 용어는 같은 뜻으로 읽고 말합니다.


=.


세와 대는 같은 뜻으로 사용합니다.


1=1....5=5....15=15....40=40....


조상과 후손 간 계대에서 누구든 기준을 1로 하여 기준 위(아버지)로나 기준 아래(아들)로나 순번대로 차례로 헤아려 읽은 수 뒤에 붙여 읽는 용어이자 단위입니다.


고조 → 증조 → 조 → 부 → 기(나)

1.......2세......3세......4세.....5

1......2......3.....4.....5세 - 고조 1세. 1대

3......2......1.....2.....3

3......2......1.....2.....3 - 조 1세. 1대

5......4......3.....2.....1

5......4......3.....2.....1- 나 1세. 1대


세손=대손

 

조상과 후손 간 계대에서 항상 윗대 조상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기준의 아랫대(아들)1로 하여 아래로 순번대로 헤아려 읽은 수 뒤에 붙여 읽는 용어이자 단위입니다.


세손=대손으로 나타낸 표


1- - 2-- 3-- 4-- 5

시조..............................증손........현손

(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

(기준)......1대손......2대손......3대손......4대손


세조=대조


조상과 후손 간 계대에서 항상 아랫대 후손을 기준으로 하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 기준의 윗대(아버지)

1로 하여 위로 순번대로 헤아려 읽은 수 뒤에 붙여 읽는 용어이자 단위입니다.


세조=대조로 나타낸 표


1- - 2- - 3- - 4- 5

고조........증조................................()

4세조......3세조........2세조.......1세조......(기준)

4대조......3대조........2대조.......1대조......(기준)


이의론논리


’2=1. -1=. =세손. =대조. 상대하세. 대불급신을 적용하여 헤아려 읽습니다.


시조() - - - - 증손 현손

1.............2........3.........4........5

1(?)......2세손.....3세손.....4세손.....5세손 下世적용

(2=1)....1.........2........3........4’2=1적용.

(대불급신)..1대손......2대손.....3대손.....4대손 원칙上代를 적용하면 읽지 못함.

4대조.........3대조......2대조.....1대조.....(대불급신) - ’上代적용


이의논지로 따져 보면 이치와 논리가 맞지 않는 주장으로 끼어 맞추기식 논리입니다.


4자성어로 된 원칙 상대하세대불급신을 만들어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게 무슨 논리입니까?


헤아려 읽다가 읽지 못하는 곳에는 위와 같은 사자성어를 적용하여 읽도록 한 것이 이의론입니다.


아래로 헤아려 읽을 때는 몇 세손으로만 읽고 위로 헤아려 읽을 때는 몇 대조로만 읽는다고 하는 것이 이의론입니다.


몇 세조몇 대손으로는 읽지 못한다고 합니다.


동의논지는 예부터 우리나라 유명 성씨 집안과 우리 경주이씨 조상님들께서 사용하시던 논지로 수많은 용례를 계대와 따져 헤아려 보면 =’. 아래로 세손=대손’. 위로 세조=대조로 같은 뜻으로 읽는 논지가 바른 주장입니다.


그래서 아래의 설명은 우리의 조상님들께서 쓰시던 동의논지로 설명을 드립니다.


동의논지의 기본 원칙은 아래와 같습니다.


[=. 세손=대손. 세조=대조]로 등호(=)좌우의 용어를 같은 뜻으로 읽습니다.


경주이씨 항렬제차 표에 의거하면 술자리를 같이 한 종친님은 아래의 표와 같이 자 항렬로 중조 42(=42)가 맞습니다.


문의하신 종친님은 중시조 38라고 하셨는데 아버지께서 항렬이니 38(=38)이니 아들인 자 항렬은 중시조 39(=39)입니다.


문의한 A 종친님은 중시조 39항렬인데 이의논지로는 ‘2=1로 읽어야 하니 39세는 ‘38로 읽어 말한 모양입니다.


경주이씨 항렬제차 표에 따라 세수와 항렬을 펼쳐보면 이래와 같습니다.


1-- 38- - 39- - 40---------- 41-- 42

거명.........()......()..,..().()....()◯...,().()

시조.........아버지........(문의자)...........................................증손 (술자리 종친님 항렬)

(기준).......37세손.......38세손........39세손...................40세손......41세손

(기준).......37대손.......38대손........39대손...................40대손......41대손


술자리의 종친님(‘. 항렬)과 대화중 중시조 42(=42) ‘항렬 B 종친님은 ‘42(=42)’로 말씀하셨으니 동의논지인 =를 같은 뜻으로 바르게 읽어 말씀하신 반면에 문의를 하신 항렬 A 종친님께서는 중시조 39세이신데 로는 38대로 읽어 말씀하셨으니 술자리의 항렬 B 종친님이 중시조 39항렬 A 종친님께 ‘38가 아니라고 하신 것입니다.


항렬 종친님 - ‘동의논지로 [=]로 같은 뜻으로 읽어 중시조 ‘42=42

항렬 종친님 - ‘이의논지로 [2세는 1. -1=]로 읽어 중시조 39세를 38대로 읽었습니다.


[익제공파]


- ‘익제공파가 아니고 익재공파입니다.


중시조 17세 익재공(휘 제현)의 호 益齋익제가 아닌 익재로 읽습니다.


[‘자 돌림인데(부친은 자 돌림) 몇 대손인가요?]


동의논지로 세손=대손- 같은 뜻으로 읽음의 뜻과 헤아려 읽는 방법


세손(=대손)의 뜻을 알고 헤아려 읽는 방법을 알아야 합니다.


세손(대손)의 뜻은 주어진 계대에서 항상 윗대조상님을 기준으로 아랫대 후손을 헤아려 읽을 때 쓰이는 용어입니다.


헤아려 읽는 방법은 주어진 계대에서 항상 윗대 조상님을 기준으로 하나 기준은 헤아리지 않고(제외 하고) 그 다음 아랫대(아들)1세손(=1대손). 손자를 2세손(=2대손). 증손자를 3세손(=3대손). 현손자를 4세손(=4대손)...등으로 아랫대로 내려가며 헤아려 읽습니다.


아래의 표와 같이 세손(=대손)을 헤아려 읽습니다.


1- - 2-- 1718192021--38세 - 39

중시조.,..병부령공.....익재공...,아들.....손자.....증손......현손........‘항렬....‘항렬

(기준)...,,1세손..........16세손.,.17세손..18세손..19세손..,20세손......37세손.....38세손

16세조..,,15세조........(기준)...,1세손....2세손...,3세손....4세손........21세손..,..22세손


*‘동의논지는 [=. 세손=대손. 세조=대조]로 등호(=)좌우의 용어를 같은 뜻으로 읽음.


세손(=대손)누구의 몇 세손(대손)인가?’ 로 묻고 답할 때 쓰이는 용어입니다.


누구는 기준이 되고 인물. 사람을 말하고 항상 윗대조상을 말합니다.


위에서는 중조 39() ‘항렬은 중시조님의 몇 세손(대손)이냐?”


중조 39() ‘항렬은 익재공의 몇 세손(대손)이냐?”로 물을 수 있습니다.


위의 표를 보면 중조 39() ‘항렬은 중시조님의 38세손(=38대손)이고 익재공의 22세손(=22대손)입니다.


이의논지로 세손과 대손으로 읽기


위의 계대(1세 중시조~39항렬)를 가지고 이의논지로 나타내어 보겠습니다.


기본 원칙이 2세는 1. -1=. =세손. 세조. =대손. 상대하세(上代下世). 대불급신(代不及身)을 적용하여 읽습니다.


1- - - 2--17181920세 -21-- 38세 -39

중시조.......병부령공...익재공....아들.....손자......증손......현손............‘항렬....‘항렬

(21)....1...........16.......17.....18......19......20............37.........38

(대불급신)..1대손........16대손....17대손..18대손..19대손...20대손.........37대손......38대손

16...........15.........(21).1.......2.......3.......4..............21.........22

1세손(?).....2세손.......17세손.....18세손..19세손...20세손..21세손.........38세손......39세손

1세조.........2세조.......17세조.....18세조..19세조...20세조...21세조........38세조......39세조(?)


=세손으로 읽어 1=1세손. 17=17세손. 39=39세손으로 읽었습니다.

=대손으로 읽어 1=1대손. 16=16대손. 38=38대손으로 읽었습니다.


世孫. 代孫은 그 말뜻과 쓰임이 다른데 어떻게 같은 뜻으로 읽을 수 있는가?


1세를 1세조로 읽고 17세를 17세조로 읽고 39세를 39세조로 읽습니다.


셈법상 논리에 맞추어 읽으려면 중시조를 1세손(?)으로 읽고 39항렬을 셈법상 39세조로 읽어야 하는데 이런 논법도 있는가?


이의논지로는 중조 39항렬은 =세손으로 샅은 뜻으로 읽어 '39세=39세손'으로 읽고 -1=로 읽어 39-1=38. 38대로 읽고 =대손으로 읽으니 38=38대손으로 읽는 것입니다.


'세와 세손'을 어떻게 같은 뜻으로 읽고 '대와 대손'을 어떻게 같은 뜻으로 읽을 수 있는가?

.